-
-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 - 영화로 보는 인문학 여행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6월
평점 :
지금도 한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생각납니다.
인간 꼬마와 똑같이 생긴 인공지능이 평온한 잠을 맞이하는 끝이었습니다.
유일하게 인류가 남긴 마지막 흔적이 잠들었다는 내용의 나레이션에 눈물이 나왔습니다.
처음부터 본 영화도 아니고 연말에 채널을 돌리다가 들은 한 마디가 너무 강력했습니다.
이렇듯 영화 속에서 한 마디, 한 문장도 명언이 되어 사람을 울립니다.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심장을 울리는 명언집입니다.

영화 속 명언은 참 많지만 막상 활용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영화관에서 보면 글 쓰다가 한순간에 영화의 흐름을 놓치기 쉽습니다.
또 집에서 다시 보면 영화관에서 보던 그 맛이 나지 않아서 찜찜합니다.
그래서 명대사를 찾고 싶어도 찾을 수 없어서 참 아쉬웠습니다.
웬만큼 인기가 있지 않으면 대본집을 구하는 일도 까다롭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이 고마웠습니다.
제가 원하던 영화 속 명언이 다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계를 보여줍니다.
명언 따라 영화도 보고픈 마음이 드는 구성입니다.
명언도 명언이지만 부드럽게 줄거리 속으로 끌고 가는 작가님의 필력도 대단합니다.
명언집으로 보는 마음
저는 끌리는 대상에 무언가가 있다고 믿습니다.
무의식적으로 계속 생각하고 신경써서 더욱 눈에 밟힌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기분이 꿀꿀할 때 명언집을 보면 마음을 파악합니다.
<알쓸범잡>에서 판사님이 하신 말씀처럼 인간은 생각보다 자기 마음을 모릅니다.
모르기 때문에 명언집이나 문학 작품을 통해서 거울처럼 비추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에 제가 끌린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욕망을 갖게 했으면 재능을 주셨어야지. (아마데우스)
세상에서 제일 해로운 말이 "그만하면 잘 했어."야. (위플래쉬)
하나의 작은 이념이 모든 것을 바꾼다. (인셉션)
1학기 종가하고 글쓰기 수업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업에서 글쓰기를 끝내고 싶지 않았습니다.
글쓰기에 대한 새로운 욕망이 생겼지만 능력이 아직 성장하지 않아서 꿀꿀했습니다.
잘 하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데 더운 날씨라는 이름 아래 스스로 선을 긋는 것 같아서 속상했습니다. 하지만 작은 일이 큰 파도를 부른다는 사실을 알기에,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무의식은 생각보다 강하고 분명합니다.
종종 이런 방식으로 마음을 비추어 볼 수 있습니다.
오늘도 마음을 알고 가는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