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하고 싶어질 때마다 보는 책 - 페미니스트 아내의 결혼탐구생활
박식빵 지음, 김예지 표지그림 / 푸른향기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에서 여성으로 산다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관심을 받는 요소가 2개 있다.

바로 외모와 연결임출육이다.

일단 관에 들어가기 전까지 외모 이야기는 따라다닌다.

연애-결혼-임신-출산-유아도 마찬가지이다. 어느 나이가 되었든 여자에게 따라온다.

아무리 내가 MZ 세대여도 결혼으로 인한 불안요소가 더 크다.

경력 단절, 독박 육아, 편중된 가사 노동, 고부 갈등, 나만의 시간 증발 등을 생각하면 결혼이 영 껄끄럽다. 과연 결혼을 하는게 여성에게 이득일까? 해가 더 크지 않을까?

어디 주변에 물어볼 수도 없는 질문에 시원하게 답해주는 책이 있다.

바로 <이혼하고 싶어질 때마다 보는 책>이다.

솔직히 작가님의 첫 작 본격 고부갈등 에세이 <님아, 그 선을 넘지 마오>는 페미니스트적인 요소를 갖고 태어나지 않았다. 단기 작가님의 경험이 삶 속에 녹아있을 정도로 공감한 여성이 많은 세상에 나와서 페미니스트 도서가 되었다. 솔직히 작가님의 글을 읽으면서 나란 사람은 결혼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 겠다는 확신이 생겼다. 나에겐 나의 삶이 더 중요함을 깨달았다.

1. 스스로 경제적.능력적 자립이 가능해야 결혼도 즐겁다. 

내 멋대로 사람을 바꾼다는 생각으로 결혼을 하면 지옥이다.


작가님은 어릴 적 부족하게 살지 못해서 남편에게 경제적인 능력을 기대했다.

학력, 유머, 경제적 능력, 외형 4가지를 모두 원했으나 사람인지라 마지막 조건을 제외한 75%의 조건을 충족하는 남편을 만나 부부가 되셨다. 하지만 작가님의 의도대로 결혼생활은 풀리지 않았다. 영국에서 남편은 대한민국을 그리워하고, 자신의 일자리는 쉽게 구해지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대한민국으로 다시 와서 사는데 시부모님의 손을 빌리면서 참 피곤한 간섭이 시작되었다.

작가님이 느낀 피곤함과 표현을 보면 나는 결혼 상대에게 요구하는 조건을 자신이 충족하지 못한다면 그것으로 오히려 고통받음을 깨달았다. 내가 사랑한 사람이 나를 낮게 보고, 시부모님이 경제적인 도움을 바탕으로 간섭을 한다면 살아있는 생지옥이나 다름이 없다.


무엇보다 누군가의 마음에 속 드는 사람이 없으며, 함부로 상대방을 내 입맛대로 바꿀 수 있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는 중요한 사실도 알았다. 남편이든 시부모님이든 내가 바꿀 수 없다. 그러니 결혼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 

2. 나의 삶이 더 중요하다면 결혼 자체를 안 하는게 맞다.

아이 키우기를 할 자신이 없다면 결혼은 안 하는게 맞다.


나는 나 자신이 결혼에 맞지 않음을 알았다. 나에게는 나의 삶과 성장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이는 돈만 있다고 절절로 성장해서 어른이 되지 않는다. 20년이 넘도록 양육자의 지속적인 보살핌이 필요하다. 지금도 집에서 밥하고 치우고 설거지하고 일하고 돌아온 가족들 비위 맞추는 일도 피곤하고 찌들어가는데 언제 자랄지도 모르는 아이에게 20년 이상을 헌신하라니 나는 절대로 못한다. 무엇보다 나에게는 나의 삶이 더 중요하다. 스스로 성장하고 성취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나의 삶의 풍족함을 느끼고 만족하는 일이 나에게 중요하다.


누군가는 저출산 시대에 비혼 자체가 나쁘다고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의 생각은 다르다. 책임지지도 못할 결혼을 해서 온전한 어른으로 아이를 양육할 수 없다면 그래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면 그게 더 문제다. 무엇보다 남편과 아이가 나의 노후 자산을 나의 건강을 생각해주지 않는다. 스스로의 능력만이 자신의 안전과 삶을 보장해준다.


아무튼 작가님의 글로 나는 결혼에 맞지 않는 사람임을 확신했고, 결혼하지 않음을 선포한다.

또한 내게 페미니스트적인 면모가 있음을 인정한다.

나는 위와 같은 글에서 작가님에게 공감했다.

예쁘다는 말을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지어지는 가사 노동을 나는 거부한다. 예쁘다는 말은 그 사람의 외형, 비영구적인 면모만을 보고서 하는 빈 말에 지나지 않는다.

외모에 대한 칭찬을 하는 사람이 쉽게 올라오는 피부 트러블, 다음날 뒤집어지는 피부, 소화불량, 활동성 저하, 이동 중의 불편함 등을 고려하고 말할까?

체력 증진, 능률의 증가, 효율성 등의 측면에서 봐도 딱히 외모가 그렇게 중대하다고 볼 수 없다.

특히 공대생으로 생활하는 나에게 외모는 근무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면 된다. 몸매도 건강을 유지 및 향상에 적합한 정도이면 된다. 나에게는 외모보다 스스로의 능력 발전과 성취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공대생으로서 계속 진로를 나간다면 적어도 남편과 동일한 임금을 받거나 더 받을 가능성이 크다. 솔직히 똑같은 일하고 똑같이 돈 벌어오는데 한쪽만 가사노동을 담당한다면 나는 용인할 수 없다. 어차피 끼리끼리 결혼했다면 내가 무엇이 부족하다고 편향된 노동을 맡아야 하는가? 현실이 녹록치 않더라도 이런 생각은 변함이 없다.

그래서 작가님처럼 내게도 페미니스트적인 면모가 있음을 인정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