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보그가 되다
김초엽.김원영 지음 / 사계절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애인과 보조기기 그리고 사이보그는 무슨 관계일까? 

우리는 사이보그라는 말에 인공적인 신체를 몸에 달고 보통의 인간보다 우월한 힘을 해는 존재를 상상한다. 그러나 현실의 사이보그는 다르다.

현실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기구는 탁월한 효과를 주지도 않고, 기하급수적으로 어떤 향상을 주는 도구가 아니다. 그저 사회가 정상이라고 요구하는 기준에 간신히 들 정도인 보조만 해줄 뿐이다. 이는 <사이보그가 되다>가 적나라하게 밝히는 현실이다.



이 책의 작가님 두 분은 장애를 가진 분들이다. 이들이 내어놓는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얼마나 지금의 장애를 위한 기술이 현실과 동떨어져있으면서 터무니 없는 이상을 바라는지 알 수 있다.

청각 능력을 향상시키는 신약이나 착용만 해도 청각이 우수하게 좋아지는 기구는 없다.

소리를 대신하여 글로 보여주는 음성인식 기술만이 존재할 뿐이다.

먹는다고 갑자기 직립 보행이 쉬워지는 약은 없다. 직립 보행을 편히 하는 기계는 없다.

의족은 피부를 짓무르게 만들며 발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전히 경감시켜 줄 수 없다.

단지 이동하기 비교적 편한 휠체어와 보드가 있을 뿐이다.

말로 하는 소통이 직립 보행이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사회의 시선을 보조기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장애인의 편의보다 높게 생각한다.

이는 과학기술에서 여과 없이 나타난다.


많은 과학기술이 현재 장애를 가진 이들보다 태어나지 않은 이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자폐증을 비롯한 선척적인 질병에 대하여 유전자적인 원인을 밝히려는 연구에 투자되는 경우는 많아도 실제로 앓고 있는 이들에게 투자되는 경우는 손에 꼽는다.

앞으로 이렇게 태어나는 이들이 없게 하겠다이지 지금 살아가는 이들을 신경쓰지 않는다.

과연 이게 올바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을까? 과학기술의 미래라고 할 수 있을까?

<사이보그가 되다>가 원하는 바는 머나먼 미래의 실체가 없는 희망이 아니다.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자들에게 도움이 될 작지만 강한 기술이다.



이 책에는 많은 예시가 나온다. 물론 일반적인 사람이 공감하기 힘든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나는 안경이라는 시력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의족과 심장 보조장치를 안경으로 치환하여 신체의 일부로서 아주 섬세한 도구로서의 장애 보조기구를 이해할 수 있었다.


나에게 안경은 신체의 일부이다. 잠을 잘 때를 빼면 늘 안경을 쓴다.

안경이 없어며 가까이 있는 물체도 희미하게 보인다. 안경이 없으며 학교에서 밥을 먹으려가는 길도 한없이 위험한 곳이 되며, 공부도 책읽기와 같은 활동도 할 수가 없다.

안경이 부러지기라도 하면 일상생활이 엄청 불편하고 평범한 일도 제대로 하기 힘들다.


안경을 쓰는 이상 나는 죽을 때까지 안경사의 정비와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안경은 균형이 매우 중요한 도구이다. 조금이라도 빗나가면 바로 반응이 온다.

콧대의 균형이 달라서 코에 자국이 남고, 안경대의 균형이 이상하면 귓 한 쪽이 빨개진다.

안경알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초점이 이상하고, 착용을 할 때 불편함을 준다.

새로 안경을 맞추면 적응하기 전까지 부피와 깊이의 착각으로 인한 어지러움과 메스꺼움이 온다.

여름에는 땀과 분비물에 녹이 슬고 피부와 맞닿는 부분에 여드름이나 두드러기가 나기도 한다.

작은 안경 콧대를 바꿀 때조차 안경사를 찾아가야 한다.


이렇게 간단하게 보이는 안경조차 불편함과 주의사항이 넘쳐나는데, 널리 퍼지지 않은 의족과 의수와 같은 보조기기들은 오죽할까?


물론 안경이라는 널리 퍼진 시력 보조기구를 착용하는 사람으로서 이 책에 나온 불편함과 문제점들을 다 이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과 자각은 중요하다.

작은 사소함이 장애를 위한 실용적인 환경과 편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나는 운이 좋아서 미국 포틀랜드에서 잠시 생활한 적이 있었다.

그곳에서 나는 작은 배려들이 도시 곳곳에 넘쳐나는 풍경을 보았다.

휠체어가 들어갈 정도로 큰 화장실문과 없는 문턱 그리고 좌변기 근처의 손잡이.

버스든 지상철이든 휠체어를 놓을 수 있는 공간과 없는 문턱 그리고 자동적으로 펴지는 승강로.

일정한 거리마다 존재하는 밝은 노란색의 점자판과 매 정거장마다 울리는 안내음.

포틀랜드에서 나는 작지만 강한 기술들을 보았다.

<사이보그가 되다>가 말하는 기술들은 희미한 희망에 사로잡힌 실체도 없는 기술이 아니다. 내가 포틀랜드에서 맛 보았던 작은 현실에서 실용적인 기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