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택시
이모세 지음 / 밝은세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난 지금도 <이젠 안녕>을 들으면 졸업식이 생각난다. 초중고 졸업식에서 불렸던 노래였다.

졸업식은 당연한 절차로서 치루어야 하는 의식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별 미련은 없었다.

어딜 가든 나란 존재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젠 안녕>만큼은 담담하게 잊을 수 없었다.

공부와 독서로 보낸 학창시절 동안 유일하게 나를 위로해준 노래이기 때문이다.

가족도 동급생들도 완전히 알지 못 해서 동떨어진 시간을 보냈어도 <이젠 안녕>만큼은 나에게 작별인사를 건네 주었다. 현재의 나에 대한 작별인사였다.

오래된 나 자신은 과거에 놓은 체 새로운 나를 만나는 계기가 <이젠 안녕>이었다.

언제가 새로운 내가 되어서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이 <이젠 안녕>이었다.

<개인적인 택시>는 나의 추억처럼 음악에 얽힌 추억과 기억을 끄집어낸다.



특히 공감이 갔던 에피소드는 김창식씨였다. 

김창식씨는 복고풍을 좋아하는 청년이다. 남들과는 다른 패션에 주변에서 비난이 많았다.

그럼에도 자신의 스타일을 고수하며 자신의 길을 걸었다.

나도 남들과 달랐기에 그의 고충과 고민이 이해가 되었다.

주변에서 팔랑팔랑한 원피스에 화장을 할 때 나는 선크림에 활동하기 쉬운 캐쥬얼을 입었다.

주변에서 살을 빼고 치마를 입으라고, 화장을 하라고 해도 나는 스웨터에 카디건 그리고 단정한 용모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유지했다. 남들이 뭐라 하던 나는 나만의 스타일이 있었다. 

나는 그런 스타일을 고수하며, 입시에서도 면접을 통과하고 새로운 미래를 꿈꾸고 있다. 

이미 다른 사람과 다름을 알고 그 길을 가고 있던 나로서는 김창식씨에게 격한 공감을 했다.



또 나는 내가 가지고 있던 감정적인 트라우마에서 알아채고 나갈 구멍을 찾을 수 있었다.

<아침>이란 에피소드였다. 순간에 즐거워도 그 순간이 지나면 과거가 된다는 생각에

다시는 오지 않는다는 생각에 나는 누군가에게 다가가기를 무서워했다.

지금 아무리 즐거워도 미래에는 없을지도 모르는 감정이 두려웠다.

미래에 내 겉에 없을 그 사람이 생길까봐 누군가에게 다가가지 못 했다.

그래서 한없이 선을 긋고 밀쳐내는 나였다. 그런데 그것은 가벼운 착각이었다.

지나가도 지금 순간은 소중하다. 다시는 오지 않을 시간이어서 행복하고 설령 지나간다고 해도 추억으로 남는다는 말에 그때가 되면 또 그리워하면 된다는 말에 치유받았다.

그래서 조금이지만 누군가에게 다가가서 추겅을 만들 힘이 생겼다.


누군가에게 음악이 삶의 모토이자 추억이자 아련한 기억이자 고난의 순간이자 희망의 시기일수도 있다. 음악에 그 뜻을 부여하는 사람은 자신 뿐이고, 자신의 삶을 만드는 사람도 자신이다.

<개인적인 택시>는 개인의 삶을 되돌아보고 조언을 주는 인생조언모음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