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앱테크로 기적을 만들었다
엠찌 지음 / 빈티지하우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갓 스무살이 된 나도 재테크가 중요하다는 사실은 잘 안다. 그러나 두렵다.

재테크를 할 종자돈도 없는데 어떻게 투자를 하란 건지? 의문만 쌓인다.

재테크로 이익을 얻은 사람들은 종자돈이라도 모을 재력이 있어서 성공했다고 생각했다.

엠찌 작가님의 <나는 앱테크로 기적을 만들었다>란 책을 만나기 전까지 말이다.

앱테크란 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을 통해 하는 재테크를 의미한다.

보통 출석체크를 해서 받은 포인트를 적립하는 좁은 의미로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앱테크는 모바일 가계부 작성부터 금융상품 투자까지 그 범위가 넓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만 재테크인 것은 아니었다!


엠지 작가님은 종자돈도 없이 앱테크를 시작했다.

남편의 투자 실패로 빚이 생기고, 빚을 청산해도 약 4억원의 대출이 남아 있었다. 

직장으로 조기 복귀를 해야 하나 고민했지만 아직 엄마의 손이 필요한 어린 딸과의 삶을 포기할 수 없었다. 그래서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는 앱테크를 시작했다.


첫 시작은 가계부였다. 종자돈도 없는 상황에서 지출부터 줄여야 했다. 

처음 본 소비액은 430만원이었다. 외벌이인 상황에서 소비가 430만원이라니!

그 중에서 고정지출인 생활비를 계산하니 270만원이었다. 그보다 더 소비를 줄여야 했다. 

그렇다고 먹고 싶은 음식을 먹지 않으면서 절약한 것은 아니었다.

270만원에서 절반보다 적은 100만원으로 생활비를 잡았다. 그 결과 약 2만 5천원이 초과했다.

그 이후 매달 일정 비율로 생활비를 줄여 나갔다. 그 결과 40만원에 도달했다. 

다양한 할인과 발품을 통해 일정 비율로 생활비를 계속 줄일 수 있었다.


생활비를 줄이면서 엠찌 작가님은 적립과 소액투자도 신경썼다.

적립은 우리가 생각하는 출석체크를 통해 포인트를 받는 걸 말한다. 엠지 작가님은 매일 매일 꾸준히 포인트를 모으고, 30원, 50원이라도 전환했다. 

티끌 모아 태산은 지나간 시대라지만 여러 앱으로 실천한다면 달라진다. 

티끌을 모아 만든 작은 태산은 소액투자에 사용되어 또 다른 태산을 만든다.

주가가 천 원도 안 되는 동전주, 0.01 배당주도 투자하고 기다리면 이익이 된다.

우리는 재테크를 엄청나게 거창한 존재로 생각한다. 그래서 알고 있지만 실천하지 못 한다.

엠찌 작가님과 함께 습관처럼 실행할 수 있는 절약, 적립, 소액투자를 실천하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