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세균의 역습 - 식이섬유와 유산균을 많이 먹으라는 말은 잘못됐다
에다 아카시 지음, 박현숙 옮김, 김나영 감수 / 비타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에 들어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속이 안 좋으면 유익균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각종 발효식품을 먹기 시작했다.

문제는 먹어도 진전이 없거나 악화된다는 거였다. 

그 이유를 <장내세균의 역습>에서 중점적으로 다룬다.


우리는 장에 미생물이 많으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은 과유불급이다.

부족하면 채우면 되지만 많으면 딱히 약도 없다. 

대장에는 원래부터 세균이 많다. 오물을 처리하는 기관이니 여러 미생물들이 많다.

소장의 경우 대장에 비해서 엄청 적다.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기관이니 보통이라면 그렇다.

그러나 서양식 식생활과 불규칙한 식사 

그리고 과도한 미생물 공급으로 소장에 미생물이 업청 많아졌다. 

이를 전문용어로 SIBO라고 한다. SIBO는 소장 내 세균 과증식을 의미한다.

소장에 과도하게 미생물이 번식해서 문제가 생겼다. 가스가 차고 감염을 일으킨 것이다.

SIBO는 과도하게 미생물이 많이 번식해서 문제가 된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미생물을 줄일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저포드맵 식사를 할 필요가 있다.



포드맵은 장에 체류하는 시간이 긴(분해하기 힘든) 당질류를 말한다.

소화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신체에서 소화시킬 수 없는 물질은 미생물들의 먹이감이 된다.

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먹는 음식이 장 문제를 키우는 꼴이다.

항생제는 다른 유익균들도 죽여서 균형을 깨뜨리기 때문에

저포드맵 식사를 통해 미생물을 키우는 먹이 자체를 줄일 수 밖에 없다.



나에게 맞는 고포드맵을 찾는 방식은 위와 같다.

3주 동안 저포드맵을 실행해서 장내 환경을 바꾼다.

이후 1주일 간격으로 고포드맵 음식을 1가지씩 섭취하며 반응을 살핀다.

장내 미생물구성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일이 확인하는 수 밖에 없다.

그동안의 장 문제는 스스로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도 자신에게 있다.

저포드맵을 실천하며 나에게 딱 맞는 고포드맵을 찾아야 장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