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키퍼 - 돌아간 여자들은 반드시 죽는다
제시카 무어 지음, 김효정 옮김 / 리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 키퍼>는 케이트 스트로란 여성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자살이 자주 일어나는 다리에서 그녀는 죽었다. 

수사를 진행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케이티 스트로란 이름은 가진 인간은 없었다.

대학 졸업 명단, 건강보험 등록자 중에도 그녀는 없었다.

직장에서도 그녀의 정확한 신원은 알지 못 했다.

그렇게 수사는 시작된다.


케이티가 일하는 곳은 여성 쉼터이다.

가정 폭력 때문에 온 여성들이 머물고 있다. 

그들이 여기 온 이유는 다양하다. 

문화적 배경, 한순간의 폭력, 오랜 시간의 폭력, 집착과 폭행.

그들은 모두 다르고, 가정 폭력의 모습도 달랐다.

가정 폭력은 특수한 상황이나 사람이 만든게 아니다.

일반적으로 보이는 사람도 저지를 수 있는 일이다.

평소에 그러지 않았던 남동생이 폭력을 행사했던, 나지아처럼.


결혼 전 사랑은 달콤했다. 미묘한 압박과 집착도 유하게 받아들일 정도로.

그가 한순간 폭력을 보여도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평소에 그러지 않았던 그였으니까 이번만 그런다고 믿었다.

<더 키퍼>의 여성 쉼터에서 아이가 있는 여성들의 경우는 위와 비슷하다.

씁씁하다는 말 밖에 안 나온다.

연인을 향한 소유욕과 독점욕, 자기 통제하에 두고픈 욕구, 자신의 아래에 있다는 우월감.

달콤한 사랑을 했던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을 사랑하지 못했던 시간.

누구를 탓할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어떤 해결책을 줄 수도 없는 상황은 답답하다.

여성 쉼터를 떠난 여성들의 마음도 그러지 않을까?


케이티도 그랬다. 아버지가 떠나고, 어머니는 암 투병 중이었다.

클럽에서 만난 제이미는 자상하고 친절한 사람이었다.

어머니를 신경써주고 자신을 존중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제이미는 케이티를 자기 통제하에 놓고 싶었다. 

그녀가 통제선 밖으로 갈려고 할 때마다 그는 압박을 가했다.

결국 그녀는 그에 의해 죽음을 향해 갔다.

반전이 늦게 발견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풀네임이 처음부터 나오지 않았으며, 

제이미가 제임스의 애칭이란 점을 나중에 알았기 때문이다.

제이미가 제임스임을 알면 소설을 다시 읽게 된다.

도대체 그는 어떤 마음으로 수사를 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