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길을 헤매도 괜찮아
김효원 외 지음 / 자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올해 20학번이다. 코로나가 점령한 대학생활은 꽝이었다.

시험을 볼 때까지 얼굴도 몰랐던 동기들, 시험이 끝나도 눈만 아는 동기들

날아간 MT와 동아리 그리고 나들이, 또한 동시에 날아간 자격증 시험들

비대면 수업과 함께 폭주하는 유튜브와 드라마 시청

다른 학과 애들은 잘 만 공부하던데 왜 나는 이런가? 드는 나날들

코로나블루인가? 강제적 집콕만 해도 서러운데 취업 준비 하라는 주변

고등학교 때 생각하던 대학생활은 이게 아닌데 하면서 우울할 때

<지금은 길을 헤매도 괜찮아>는 위로가 되었다.


인생에 메뉴얼은 없다.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첫 번째 말이 "인생에 메뉴얼은 없다."란 말이었다.

고등학교 때 죽어라 공부해서 대학에 가면 다 될 줄 알았다.

막상 대학에 가니 취직 걱정이 있고, 생각보다 학과공부는 재미가 없었다.

내가 이런 공부를 하려고 대학에 왔나 자괴감도 들었지만 독서가 있어서 살았다.

이 책을 쓴 6인의 작가님 중 최영원 작가님은 1년 3개월 간 100권의 책을 읽었다.

100권의 책을 읽은 작가님이 느낀 바는 아래와 같았다.


보통 우리가 말하는 인생의 메뉴얼을 따를 필요는 없다.

생각보다 남들 눈치를 안 보고 사는 사람은 많다.


나도 3개월 간 100여권의 책을 읽으면서 위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여러 연령대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책을 쓴 작가였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책을 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탄탄대로로 산 사람은 없었다. 

오히려 힘든 시기를 겪었고 남들과 다른 삶을 살았다. 

심지어 지금 이 책도 20대가 낸 책이다. 

대학생이어도 졸업하기 전에 작가가 될 수 있고 다른 존재가 될 수 있음을 배웠다.

그래서 메뉴얼에서 벗어난 삶을 살기 시작했다.


희망직업만을 강조하는 수업이 싫었다. 대학교에서 진로설계를 배워도 그랬다.

직업에 초점을 맞춘 전공 교육과정과 장학금 설명만이 가득한 주입식 강의는 고역이었다.

왜 이 일을 하고 왜 그 길로 가야하는지 질문조차 없었다.

그래서 박동현 작가님이 제시한 '행위희망'이 좋았다.

무슨 일을 하는지? 왜 그 일을 하는지? 질문으로부터 시작한 일이 진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명사형 직업에서 동사형 진로로 옮겨가니 이제야 원하는 큰 그림이 보였다.

직업명에 집착하기보다 진로라는 큰 그림이 이제야 보이기 시작했다.

그 진로는 메뉴얼이 아니다. 내가 그리고 물들인 행동만이 있을 뿐이다.

나의 20대는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그래서 20대 작가님들의 이야기가 마음에 닿아 희망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