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깨달음
스티브 테일러 지음, 추미란 옮김 / 판미동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깨달음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 뭔가 종교와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그러나 깨달음은 일상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깨달음은 강도에 따라 선명한 지각에서부터 영적인 에너지를 인지하는 수준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상에서도 깨달음은 일어난다.

깨달음은 기존의 자아 체계를 부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자아를 확립시키는 과정이다.

시각의 변화~새로운 정체성의 확립까지 그 양상은 다양하다.


깨달음이 생기는 이유는 에고 때문이다.

자신이라는 에고는 통합적인 시선에서 자기중심적인 시선을 부른다.

청소년기에 들어 에고가 커지기 시작하면 우리의 관심과 에너지는 에고로 쏠린다.

그래서 어린 아이 때처럼 선명한 감각과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다.

에고에 많은 에너지가 쓰여서 지각과 인지, 인식에 쓸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에고에게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명상이 기본이다. 

일상에서 깨달음은 단계적으로 또는 급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행동, 정화 또는 정제, 무욕, 봉사, 명상을 행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을 비난하거나 헐뜯지 않아야 하며: 윤리적 행동

머릿 속에서 들리는 부정적인 생각의 흐름을 잡을 줄 알아야 하며: 정화 또는 정제

물질적인 탐욕으로 부터 관심을 없애야 한다.:무욕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이입(봉사)를 행해야 하며 명상도 해야 좋다.

그러나 개인마다 깨달음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깨달음을 얻으면 사람이 어떻게 변하는가?

감사함과 행복함이 증가하며, 걱정과 불안이 줄어든다.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느끼며 평온한 마음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었다고 무적인 것은 아니다.

깨달음은 새로운 자아 정체성의 확립이다. 기존의 자아 덤미가 남아있을 수 있다.

여전히 자신을 향한 비난과 헐뜯음이 존재하며 인생이 순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깨달았기에 기존 삶과 맞지 않아서 문제가 생긴다. 주위에 이해해줄 사람도 없다. 

깨달아서 좋은 점은 좀 더 통합적이고 생생한 지각을 느낄 수 있으며,

새로운 시각/정체정으로 살아서 문제를 더 잘 해결한다는 것이다.


깨달음은 생소하다. 종교에만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깨달음은 보통의 일상에서도 일어난다. 

우리는 많이 접하지 않았기에, 깨달은 상태인지도 몰라서 깨달음을 모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