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으로 배우는 서버 구조 ㅣ 그림으로 배우는 시리즈
니시무라 야스히로 지음, 김성훈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20년 11월
평점 :

컴퓨터활용능력 공부를 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서버가 엄청 많이 나옴을 말이다.
DNS, WWW, IP, SLS, PROXY 모두 필기에서 한 번 정도는 본 개념들이다.
도대체 서버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사회에서 자격증으로 원하는 것일까?
서버는 IT 기술의 흐름과 같이 하며 우리의 온라인 세상을 이루는 축이다.
<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는 우리가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서버는 우리 삶 속에 녹아있다.
대학생이라도 서버는 잘 모른다. 컴퓨터 사고와 코딩은 알아도 말이다.
서버가 그렇게 중요하다면 왜 안 배우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서버란 개념이 너무 자연스럽게 삶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와이파이에선 본 LAN, 회사에 있는 인트라넷, 인터넷이 끓길 때 본 PROXY,
PC, OS 체계, 앱, 빅데이터, IP 주소, AI 너무 주위에 많기에 몰랐을 뿐이다.
컴퓨팅 사고도 코딩도 서버에 속한다.
알고리즘이 메뉴얼이고 시스템이 팀원이라면 서버는 팀장이다.
알고리즘(컴퓨팅 사고, 코딩)<시스템<서버
너무 큰 존재여서 우리가 모를 뿐이지 엄청나게 주변에 많다.
지금 당장 쓰고 있는 스마트폰도 서버를 사용한다.
서버는 기본이다.
주위에 서버 사용이 많은 것은 이해했다.
그런데 왜 서버에 대해 알아야 할까?
우리 뿐만 아니라 회사에서도 국가에서도 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윈도우와 리눅스, IP주소와 방화벽 그리고 PROXY, 회사 내에서 사용하는 인트라넷,
빅데이터와 AI는 서버를 사용한다. 서버로 구성되고 작동된다.
4차 산업 혁명기를 살고 있다면 죽을 때까지 서버를 사용한다.
사회에서도 컴퓨터활용능력 이라는 이름 하에 서버를 공부하길 권한다.
우리가 잘 아는 OS은 20세기 후반에 나왔지만 지금까지 잘만 사용하고 있다.
발전은 있을지 언정 중심 기술과 원리는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한 번 서버를 배운다면 죽기 전까지 사용한다는 말이다.
서버는 도움이 된다.
서버를 배운다면 삶이 더 편리해진다.
인터넷이 끓겼을 때 방화벽, PROXY 서버에 의한 것인지 LAN에 의한 것인지 안다면
기사님에게 무엇이 문제인지 더 잘 알려줄 수 있고 좀 더 나아가 내가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문제가 생겨도 대처할 수 있고
회사 내에 보안 문제와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다.
기술을 사용하는데 있어 자세히 몰라도 불편함은 없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할 때는 다르다.
기술의 원리를 모른다면 어떤 부분에서 어는 정도 문제인지
문제의 크기는 어느 정도 알 수도 없다. IT가 발전할수록 기술/정보 격차는 벌어진다.
서버에 대해 안다면 4차 산업 혁명에서 생존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금부터 그림으로라도 서버 구조의 기초에 대해 아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