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
정여랑 지음 / 위키드위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년 후>는 5년마다 결혼생활을 유지할 지 결정할 수 있는 결혼 종신제와

가정의 형태, 나이, 성별, 인종, 직업에 상관없이 국가가 지원하는 미래를 다룬다.

우리는 5년후를 통해 결혼, 임신과 출산, 양육의 고정관념과 만난다.


결혼은 계약이다.

결혼 갱신제가 도입되자 종신제의 강요와 범죄가 일어났다.

시가에서 집을 빌미로 종신제를 강요하거나 사랑의 변치않음을 강조하며 종신제를 여성에게 강요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여기서 우리는 결혼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한다.

결혼은 계약이다. 

사회가 계약을 통해 성사되었듯이,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도 결혼에 의한 게약의 결과물이다. 결혼 갱신제는 선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계약은 서로 간의 이익과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존재한다. 결혼생활이 별로라면 언제든지 계약을 깰 수 있다.

결혼갱신제는 계약의 파기를 약간 도와줄 뿐이며, 정확한 목적은 헤어짐이 아니다.

결혼갱신제의 목적은 서로 알고 성장하는 관계의 형성과 유지이다.

결혼은 상대방을 소유하고 내 울타리에 가두는 족쇄가 아니다.

서로의 행복을 위해 성장하고 변하겠다는 계약의 연장이다.

우리는 아주 많이 계약으로서 결혼을 잊고 도구로서 결혼을 이용한다.

평생 한 사람을 매어두기 위한 족쇄로 사용하는 것이다.

소설 속 인물들은 결혼갱신제를 두고 싸우고 고민하고 헤어지기도 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결혼도 개인의 선택이고 계약이기 때문이다.


임신과 출산은 선택이고 육아는 우리가 할 일이다.

우리는 임신 중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아이의 탄생에만 신경쓰고 임신 이후의 지원에 대해서 생각한 적이 없다.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은 손이 많이 간다. 많이 가는게 아니라 몇 십 년을 쏟아부어야 한다.

몇 십 년이나 되는 낳고 키울 사람의 인생과 아이의 삶을 재판 과정에서 생각한 적이 없다.

태어나기만 한다고 행복한 삶이 기다리지 않는다.

아이를 낳아 건강하게 키울 환경(돌봄, 보육, 교육, 양육, 치안, 세대 차이 해소)이 되는가?

환경 조성도 안 하고 육체적 정신적 지원이 적은 상태에서 

아이만 낳는다고 저출산을 해결되지 않는다.

우리는 여성이 양육을 담당하길 원한다.

여성이 남성과 똑같이 박사를 따고 같은 분야에 일하고 같은 승진 대상에 포함되어 있어도

여성이 아이를 키우기를 원한다.

여성도 같은 경제적 활동을 하며 꿈을 펼치기 원하는데 왜 양육은 혼자서 맡아야 하는가?

아이를 키우는 일은 모두의 일이다. 한 명만 신경쓴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부부 사이에 양육 문제가 나오면 친정이나 시가에 맡기다는 대답은 정답이 아니다.

그 또한 다른 여성의 돌봄 노동을 이용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상은 정상이 아니다.

우리는 이성애 부부와 아이가 있는 가족을 정상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정상은 범죄를 은페하는 좋은 방패가 되기도 한다.

아이를 빌미로 음지에서 폭력이 일어나며, 경제적인 이유로 반항할 수 없는 가정폭력은 존재한다. <5년 후>에도 나오는 바로, 이는 소설 속에만 존재하는 일이 아니다.

폭력과 차별을 만드는 정상가족은 정상성이 아니며 정상이 아니다.

<5년 후>에는 다양한 가정이 나온다.

결혼 갱신제를 통해 다시 결혼한 가족

헤어지고 아이를 통해 교류하는 가족

반려자와 함께 자신의 아이를 키우는 가정

공통육아를 통해 아빠가 3명 엄마가 2명인 가정

생활동반자로서 함께 살아가는 가정

더 이상 이성애 부부 중심의 아이가 있는 가족만 정상이 아니다.

<5년 후> 속 모든 가정이 정상이다.


<5년 후>는 우리가 앞으로 맞이할 미래이다.

우리는 결혼과 임신 그리고 출산이 선택이며 

육아는 모두의 일이며 누구나 양육을 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

<5년 후>가 현실이 되려면 우리부터 바뀌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