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 - 이야기로 만나는 23가지 한국 신화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15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10월
평점 :

최근에 남자주인공이 전직 산신인 드라마의 애청자가 되었다.
드라마가 너무 재미있지만 궁금증이 생겼다.
도대체 산신이 무슨 존재이기에 이렇게 능력이 많지?
내가 아는 산신령은 금도끼 은도끼에 나오는 할아버지가 다 였다.
산 속에 살면서 금이나 은으로 된 물건을 준다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실제로는 더 많은 일을 하는 신이었다.
산신은 단군이 통치를 끝낸 뒤에 만물을 보살피기 위해 하늘이 내려준 자리라고도 한다.
모든 생명을 다스리기에 생명의 잉태에도 관여하며
악귀를 물리치고 변신을 한다.
단군이 호랑이를 어르기 위해 산신이 된 뒤에 데리고 다닌다고 하며
보통 길고 흰 수염을 가진 할아버지로 표현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호랑이나 여성의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단군이 산신이라는 점과 그래서 호랑이를 데리고 다닌다는 점
산 뿐만이 아니라 모든 생명을 다룬다는 점 등 새로운 사실들이 넘쳤다.
산신, 삼신할매, 용왕처럼 들어본 신들도 새로운 사실들이 더 많았다.
이외에도 많은 신들이 최근까지도 우리와 함께 존재하고 있었다.
우리는 경전이 있으며 형체가 일정한 종교들보다
민속신앙과 샤머니즘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경전이 없고 형체가 다르다고 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의 염원에 의해 생긴 존재이므로 사람들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 쉬운 우리의 신들은 수천년 전부터 우리의 전통과 문화 속에 녹아있었다.
수천년을 함께 살아온 존재를 몇 년도 안 되어 지워버리는 일은 안타까운 일이다.
산신령과 용왕 중에 누가 더 강할까?
불사할머니와 불사할아버지는 누굴까?
천연두가 신으로 섬겨졌던 이유는 무엇일까?
사신도와 오방색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삼재가 무엇일까?
위의 질문 중에 하나라도 궁금하면 이 책을 보길 바란다.
생각보다 우리의 신들은 우리 가까이에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