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피크 거대한 역전의 시작 - 지구 착취의 정점, 그 이후
앤드루 맥아피 지음, 이한음 옮김 / 청림출판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멜서스의 <인구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류가 증가하는 속도가 식량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빨라서

인간은 빈곤과 기아를 맞이할 것이다.

말만 들어도 암울하다. 그러나 위의 주장은 산업혁명 이후로 깨졌다.

왜 깨졌을까?


솔직히 산업혁명이 오기 전까지 너무 살기 힘들어서 인구증가율이 수평선과 가까웠다.

그러나 증기기관의 발명과 비료의 사용으로 식량생산성이 올라갔다.

도시는 원래부터 시골보다 환경이 더 오염되었다.

사람들의 인식이 발전하고 보건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삶의 질이 올라갔다.

당연히 인구는 증가하고 소득을 상승하고 먹거리는 풍부해졌다.

이런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이유는 긍정주의의 네 기수 때문이다.


산업혁명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긍정주의의 네 기수가 있었다.

자본주의와 기술 발전 그리고 대중의 관심과 참여하는 정부이다.

사람들의 요구 즉 자본의 요구에 따라 기술은 발전했다.

더 적게 사용하면서 더 많은 이익을 누리는 탈물질화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탈물질화가 환경 오염과 더 많은 사람들을 생각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관심과 참여하는 정부가 필요했다.


자본주의는 외부 효과를 받는다.

거래로 인해 생기는 예상하지 못한 이득이나 소해가 외부 효과이다.

우연찮게 다른 화학물질을 사용했는데 오염이 줄어든 일은 긍정적인 외부 효과이다.

그러나 외부 효과는 부정적인 면도 있다.

공장이 실제 거주지에서 멀어지면 오염의 정도가 약하게 느껴져서

오염 물질 관리가 잘 안 이루어질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본주의를 통한 기술 발전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중의 관심과 참여하는 정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대중이 저탄소 제품을 소비하고 정부가 저탄소 정책을 펼친다면

대중의 수요에 따라 기업들은 저탄소 제품을 계발하고

이미지를 위해 저탄소 정책을 따를 확률이 크다.


자본주의와 기술 발전, 대중의 관심 그리고 참여하는 정부는

우리가 정점 이후 지속 가능한 발전 그리고 환경을 생각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긍정주의의 네 기수이다.

이들이 균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이 책은 존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