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에 걸려버렸다 - 불안과 혐오의 경계, 50일간의 기록
김지호 지음 / 더난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우리는 코로나 확진자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설마 내가 걸리겠어? 클럽도 가지 않은 내가 코로나에 걸리겠어?
내가 얼마나 조심하는데 코로나에 걸려?
이런 질문들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작가님도 마찬가지였다.
원래부터 약한 면역력을 가졌기에 코로나가 창궐하기 전부터 소독제와 마스크를 구비했으며
평소에도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키며 살았다.
그런데 친구와의 식사로 인해 코로나에 걸렸다. 그것도 자신과 그 친구만 걸렸다.
설마하던 일이 일어났으니 당황스러웠다. 그러나 그는 이성적으로 대답하기 바빴다.
주위에서는 "왜 코로나에 걸렸냐?", "그러게 조심 좀 하지!", "많이 아프냐?"에 대한 질문이
회사에서는 "재택근무에 돌입했다.", "코워크 스페이스 회사가 변명을 요구한다." 등의 압박이
있었다.
자신도 코로나의 피해자이지만 코로나를 무서워하고 경계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잘 알기에 그는 최대한 이성적으로 대답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작가님도 인간이다.
자신도 코로나의 피해자임에도 마치 바이러스인 양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이 불안감이 떠넘기기가 짜증이 나고 속상하고 분했다.
그렇다. 우리는 코로나 확진자를 인간이 아닌 바이러스 그 자체로 본다.
그들이 우리와 같이 일상을 보내다 설마 하던 일이 일어났을 줄은
얼마나 당황스럽고 무섭고 화가 나는지 이해하기 보다는
나에게 옮기면 어떻하지? 도대체 무슨 일을 했기에 걸렸데? 왜 내가 격리를 당해야 해?와
같은 불평, 불만, 당혹감, 분노를 확진자에게 돌리기 바쁠 것이다.
코로나 확진자도 사람이다. 그들도 일상을 뺏기고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코로나 확진자를 인간이기보다 바이러스로 본다.
완치가 된 이후에도 알 수 없는 불안감에 공포감에 배척하고 피한다.
그래서 작가님도 회사를 그만 둘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코로나로 인한 그림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매일 안부와 소식을 나누는 글로벌 친구들
맛있는 간식과 필요한 물품을 보내주는 친구들
격려해주며 사랑해주는 가족들 그리고
항상 같은 자리에서 두꺼운 방호복을 입고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을 하는 의료계 종사자 분들
코로나로 인해 물리적으로 단절되었을지 언정 정신적으로 이어짐을 느꼈다.
우리는 코로나 시대에 산다.
그 의미는 우리 또한 언제나 코로나 확진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니 우리는 코로나 확진자를 인간으로 간주해야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확진자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면
코로나 확진자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피해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