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오강남.성소은 지음, 최진영 그림 / 판미동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우도가 무엇이고 선불교가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아니면 종교와 관련이 있어서 무조건 피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종교를 강요하는 책도, 종교에 대해 비판하는 책도, 종교에 대해 소개하는 책도 아니다. 선불교에서 십우도를 빌려와서 온전히 나를 찾는 방법을 제시할 뿐이다.


십우도는 선불교에서 진짜 나를 찾는 과정을 소란 동물을 이용해서 나타내고 있다.

즉 소라는 존재는 참된 나 또는 가능성이다. 

책에서는 귀여운 디자인이긴 하나 곽암의 십우도를 본바탕으로 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십우도가 곽암의 그림이다.)

십우도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6번째 기우귀가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도 7번째 망우존인부터는 긴가민가할 것이다.

분명 소와 같이 왔는데 소가 없다니? 인간과 소 둘다 없다니?

십우도에서 소는 자신을 의미한다. 진정한 나를 의미한다.

그러니 진짜 '나'를 찾고 지금 나라는 존재와 동일시하기 때문에 하나인 상태이다.

그래서 진짜 나인 소도, 지금의 나인 인간도 잊어져 하나의 존재가 된 것이다.

나를 찾아서 하나가 되어 근원에 도달했고, 근원에 도달했기에 

주변까지 포옹하여 저잣거리에 나가 도움의 손을 구할 수 있다.

십우도의 과정을 지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 명상과 마음챙김이다.

뇌는 변화한다. 이를 뇌의 가소성이라고 한다. 

명상은 뇌의 가소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인간을 차분하고 평온한 상태로 만들어서 자아성찰과 같은 문제를 다시 보게 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활동이 명상이다.

이중 마음챙김은 특히 현대인에게 적합하게 되어 있다.

원불교 학교를 다닌 나도 마음챙김을 배웠다.

1학기 정도만 배워서 기억이 흐릿하긴 하나 호흡과 차분함만큼은 기억이 난다.

문제를 곧바로 마주하기 보다 규칙적인 호흡을 통해서 차분하고 평온한 상태에 진입한다.

그리고 문제를 다시 보고, 조근조근 짚어가며 중심이 무엇이고 감정을 파악한다.

감정을 해소할 텀을 주어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데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있다.


왜 나부터인가?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왜냐하면 우주를 포함한 주위의 세계는 나라는 자아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나라는 자아가 특정 시각을 가지고 주변을 바라보기 때문에

내가 인지하는 우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주를 포함한 주변을 바꾸고 싶다면 우주를 바라보는 내가 변화해야 한다.

변화하는 과정이 십우도이며 구체적인 방법과 전략이 명상, 특히 마음챙김인 것이다.


나는 종교인은 아니다. 그러나 명상, 특히 마음챙김을 하는 사람이다.

신에게 기대하기 보다, 신이 없어도 성장하고 변화하고 싶어서

십우도를 걷고 마음을 챙기는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