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보베이비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74
데이비드 위즈너 지음, 서남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로봇이 가족을 이룬다는 말이 낯선가요?
아기가 배달되는 상황도 낯선가요?
로봇들이 사는 세상에선 낯선 상황이 아닙니다.
부품으로 이루어진 로봇의 입장에선 아기 로봇 부품이 배달되는 일은 자연스럽습니다.
이야기를 읽기 전에 등장인물 이름을 아는건 어떤가요?
<로보베이비>에 등장하는 모든 등장인물은 책의 뒷표지에 있습니다.

가운데 공구함을 들고 있는 로봇이 주인공?인 캐소드(애칭은 캐시)입니다.
화면 상 캐시의 왼쪽엔 순서대로 아빠 러그너트, 인형선물을 든 고모 개스킷과
조카 클러치와 피스톤(외관이 비슷한 걸로 보아 쌍둥이같습니다.),
기어 쿠키를 가져온 이웃1, 금속 볶음 스프를 가져온 이웃2입니다.
오른쪽엔 엄마 다이오드, 삼촌 매니, 강아지 스프로킷, 슬러지 케이크를 든 이웃3,
로보베이비 직원로봇 로봇텍 3명?입니다.
이야기는 아기 로봇, 플랜지가 배달되면서 시작됩니다.

플랜지를 만든 회사의 로고는 로보베이비입니다.
마지막 장에서 작가님 해설을 읽으면 더욱 이해가 됩니다.
아무튼 플랜지가 캐소드네 집에 배달되었습니다.
문제는 설명서를 읽지 않고 플랜지를 조립하면서 일어납니다.
오작동을 일으킨 것입니다.
캐소드가 설명서를 보고 다시 조립해서 플랜지가 잠들 때 쯤 놀라운 일이 생깁니다.
(스포일러: 플랜지는 우량아여서 다른 쌍둥이가 잘 안 보였습니다.)
읽다 보면 자기 방식만 고집하는 어른들이 생각납니다.
선 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말이 있듯이
어른들은 자신이 경험한 방식으로 행동합니다.
때때로 그 방식이 가장 최선의 방법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작가님은 설명서나 더 좋은 조언을 듣지 않고 고집을 부리는 어른들을 꼬집는 듯 합니다.
이는 작가님의 해설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데이비드 위즈너 작가님은 수채화로 로보베이비를 그렸습니다.
그렇지만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전기, 전자, 기계 공학 등에서 따 왔습니다.
또한 로봇가족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뜻과 의견을 전하고
로보베이비란 말의 중이성을 설명해줍니다.
작가님이 다신 각주(해설)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분야에 따라, 작가님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하는 독자로서의 저
이공학도로서 그림책이나 동화 작가님은 이 분야를 모를 것이라고 생각한 저
자신은 고정관념이 별로 없다고 생각한 저
단순한 수채화 그림책, 동화책으로 보이겠지만 보기보다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작품입니다.
어른으로서, 독자로서, 이공학도로서 많은 질문을 안겨 줍니다.
이 책을 읽고 감상뿐만 아니라 고정관념 같은 생각도 바뀌면 좋겠습니다.
의문점이 하나라도 들면 좋겠습니다. 그 정도로 질문할 거리가 많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