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를 미워해 보리 어린이 2
요시모토 유키오 지음, 김리혜 옮김 / 보리 / 199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징은 중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러나 아홉 살에 아버지의 고향인 일본으로 가서 살게 된다. 요징은 태어난 지 두 달만에 간질병에 걸렸다. 병을 고치기 위해 근육주사를 많이 맞아 오른쪽 몸이 불편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사는 동안에는 모든 아이들이 친구가 되어 놀아주고 몸은 불편했지만 마음은 따뜻하고 행복했던 날들이었다. 하지만 일본에 와서 가사이초등학교 일본어 학급에 입학한 후 중학교 일학년이 될 때 까지 따돌림도 당하고, 폭력도 당하고, 해꼬지도 당했다. 하지만 요징은 이렇게 글을 썼다. ‘사람에 대해 쓰겠습니다. 아기 때부터 걸음마랑 글자를 익힙니다. 아기는 어릴 때부터 말을 익힙니다. 다섯 살 때부터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어떤 사람인가는 모릅니다. 그렇지만 자라게 되면 친절한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친절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나는 친절한 사람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친절하지 않은 사람도 좋아합니다. 다같은 사람이기 때문에 좋아합니다. 하지만 나쁜 사람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사람입니다. 식물인간도 사람입니다. 그래서 모두를 좋아합니다.’모두가 내 동무라는 이야기가 아닐까요?

  일본은 화(和)사상에서 나온 나보다 약한 자들을 집단으로 괴롭히거나 따돌리는 이지메가 있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이 책을 보게 되었음 인지 자라나는 일본아이들마저도 나쁜 모습이 부각되는 느낌이다. 우리나라 정서로 본다면 기본적으로 약하고 힘없는 사람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데 일본은 어린이 뿐만아니라 성인사회에서도 약하고 힘없고 보편적인 것을 따라가지 못하면 우리가 말하는 왕따를 시킨다. 지금도 이지메로 인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물의를 일으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가까이 있는 나라이고 생김새는 비슷한데 의식속에 있는 내면에 있는 가치가 너무도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

  이 책에서도 일본어반 선생님은 정말로 교사로서 중국이나 한국에서 온 아이들을 차별없이 그리고 잘못된 것들을 바로 잡아 가르치고 계시지만 이 부분은 기억속에 있지 않고 온갖 방법으로 불편하고 힘없는 요징을 괴롭히는 일본아이들만 머리속에 자리하고 있다. 지은이가 서두에도 썼듯이 이 글을 읽고 지금 일본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한국 어린이들이 조금이라도 알면 다행이겠다고 했다. 우리 아이들이 이 동화를 읽고 일본이 안고  있는 문제를 조금이라도 알 수 있을까? 일본의 사회현상을 잘 반영하는 동화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어 뼉다귀 힘찬문고 5
이주홍 지음 / 우리교육 / 199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어뼉다귀>는 이주홍 선생님이 쓰신 12편의 동화가 실려있다. 처음 일곱편의 동화는 해방 후 발표하신 작품이고, 나머지 다섯편은 1930년대 <신소년>과 <동아일보>에 실린 작품이다. 옛말을 그대로 사용해서 쓰고 무슨 뜻인지 모르는 것은 주를 달아 놓았다.  해방 후 발표된 작품은 대체적으로 힘들고 어렵게 살아가는 우리 민중들의 삶이 그려져 있고, 1930년대 발표된 작품들은 일제강점기때 소작농과 지주와의 관계와 옛날이야기가 섞여 있다. 

  조금만 더 가지 바위라는 이야기는 제목이 무슨 사연이 있을 것 같은 느낌을 갖게해 얼른 읽을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너무 안타까웠다. 먹고사는 것 자체가 어려웠던 이 시대의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삶을 이 글을 통해서나마 알게 되었다. 청어뼉다귀는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소작농은 굶으면서 지주에게는 없는 것도 만들어서 대접해서 밉게 보이지 않아야 되는 관계이다. 없는 서민들의 배고픔과 서러움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잉어와 윤첨지의 경우도 아버지의 부질없는 기대가 어처구니없이 무너지는 현실 앞에서 너무나 배가 고프고 지금 당장 먹고 싶지만 조금만 기다리면 맛난 잉어를 먹을 수 있다는 아이의 기다림이 눈에 밟혀 아이의 배고픔과 머지않은 미래에 있을 아이의 허탈함에 안타까움을 감출 수 없었다. 메아리에서는 돌이가 내 산아 하고 외치는 모습에서 내 산아 속에 담겨있는 돌이의 외로움과 내 산아가 주는 묘한 감동이 여운이 깊이 남기는 것 같다. 시대적 상황의 열악함 속에서 가난하고 보호받지 못한 아이들의 위태위태한 삶의 모습들이 지금의 아이들에게 얼마만큼의 강도로 다가갈진 모르겠지만 ‘아! 이렇게 사는 모습도 있구나, 옛날의 아이들은 많이 힘들었겠구나.’라는 정도만 느껴도 좋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지는 아이들 새로고침 (책콩 청소년)
로버트 스윈델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사라지는 아이들’은 링크라는 청소년이 집안의 해체와 학대로 인해 어쩔 수 없는 가출을 하고 자발적인 노숙을 하게 된다. 가출 할 때는 사회에 나가 혼자 사는 것을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고, 어렵지 않게 지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실제로 가출해 직업을 갖기 원했지만 직업을 갖는 것은 하늘에 별을 따는 것보다 어려웠다. YMCA 같은 잠자리는 물론 여러 가지 도움과 조언에 음식까지 해결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는 걸 알았다면 당연히 거기부터 알아봤을 것이다. 하지만 아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링크는 내가 많은 것을 알고 있고 잘 헤쳐 나갈 거라고 생각 하지만 사회는 만만찮은 것들이 기다리고 있다. 조금 가지고 있는 돈도 다 떨어져 어쩔 수 없이 구걸을 해야하고 노숙하며 마음 놓고 잠을 잘 수 없는 상황들, 이곳저곳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한 일들과 빨리 아침이 오기를 기다리며 추위와 싸우며 힘들었던 것들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사회에서 버림받은 자가 되었다는 걸 깨달았을 때, 사실상 일상적인 활동에서 완전히 제외되어버린, 존재 자체가 무시되는 그런 사람이 되었다는 걸 깨달았을 때 느끼는 기분이 어떨지는 아예 언급조차하지 않았다.’  


당장 내 앞에 놓인 오늘 먹고 자는 일이 걱정되어 존재 자체가 무시되는 것을 깨달았을 때 느끼는 기분은 언급조차 할 수 없었다는 부분에서는 가슴이 아팠다.

넘치는 혈기와 패기로 무엇이든 못할 것이 없을 것 같은 청소년기에 처해 있는 우리의 아이들을 획일적인 어른들의 눈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켜봐주고 바라봐 주었으면 하는 생각을 했다.

쉴터가 살인을 하며 끊임없이 쫒아오는 장면에서는 이 책이 더 생동감있고 흥미를 더해주었다. 가출 청소년에 대한 이야기만 있었다면 좀 더 밋밋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돼지가 한 마리도 죽지 않던 날 (반양장) 사계절 1318 문고 2
로버트 뉴턴 펙 지음, 김옥수 옮김 / 사계절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돼지가 죽지않던날은 아버지가 세상에 없는 날. 세상 순리를 거스르지 않고 살아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대 TEPS 공식문제 1000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엮음 / 에듀조선(단행본)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가지 문제가 많아서 공부하기에는 좋아여. 다 풀고나면 TEPS는 UP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