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보: 168호 영화와 철학 사이 『로스트 하이웨이』― 욕망과 판타지 ‘사이’
(Lost Highway, 1997)
로스트 하이웨이는 욕망과 판타지를 연결하는 동시에 분리하는, 경첩과도 같은 공간이다. 충족될 수 없어 끊임없이 질문하는 욕망과 그것에 대답을 제시하려는 판타지가 겹쳐 있는 곳. 그러나 ‘겹침’은 욕망과 판타지 모두의 결핍을 드러낸다. 욕망으로 환원될 수 없는 간극인 동시에 판타지가 메울 수 없는 ‘사이’. 로스트 하이웨이를 질주(drive)하는 것은 욕망의 원인(Cause), 충동(drive)이다. 충동은 욕망과 판타지 둘 다를 결핍시키는 장애물인 동시에 그들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다. 전반부의 욕망과 후반부의 판타지 ‘사이’에서 ‘상실된’ 그러나 욕망과 판타지 모두를 ‘추동’(drive)하는 힘. 이것이 린치(David Lynch)의 영화가 로스트 하이웨이에서 시작되어 그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이유이다.
린치는 욕망과 판타지를 명확히 구분함으로써 오히려 욕망과 판타지의 대립으로 설명할 수 없는 잉여물, 판타지 속에서도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남아있는 욕망의 ‘원인’을 드러낸다. 프레드(Fred)에게 참을 수 없는 불안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르네(Renee)의 불가해한 욕망이다. 그것은 언제나 프레드가 포착할 수 없는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욕망의 서사를 보여주는 영화의 전반부에서 욕망의 원인은 알 수 없는 소리나 볼 수 없는 어둠과도 같은 대상으로 지시된다. 집의 복도는 어둠 속에 싸여 있어 프레드는 마치 보이지 않는 빈 공간에서 갑자기 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자신보다도 더 소중한 아이, 자신의 욕망의 대상원인을 살해하는 메데아 처럼 프레드의 집은 아내를 조각내는 ‘언케니’(uncanny)한 공간이다. 가장 친밀한 집 속에는 알 수 없는 어둠이, 낯선 빈 공간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친밀한 동시에 낯선, 가장 친밀한 곳이기 때문에 더욱 낯설게 보이는 욕망의 공간, 그 불가해함을 견디지 못해 프레드는 판타지로 도피한다.
욕망의 원인과의 만남을 피하기 위해 프레드는 우선 초자아라는 법을 불러들인다. 프레드에게 배달된, 집의 안과 밖이 찍힌 비디오 테잎처럼 주체의 한가운데에서 이미 주체를 바라보고 있는 외부의 침입자가 바로 초자아이다. 파티장소에서 프레드 앞에 서있는 동시에 프레드의 집에서 그의 전화를 받는 미스터리 맨은 욕망을 법에 종속시켰을 때 생겨나는 부산물이다. 초자아는 위반에의 욕망을 부추기는 법이다. 이제 욕망은 위반에의 욕망으로 축소되고 죄의식이 증가함에 따라 프레드는 욕망의 근원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진다. 죄의식은 욕망의 근원과의 만남에서 생겨나는 불안을 제거하기 위한 베일일 뿐이다. “네가 나를 초대했다”는 미스테리 맨의 말처럼 꿈속에서 프레드는 르네의 모습을 한 미스테리 맨을 본다. 그러나 욕망의 대상 원인은 르네 자신이 아닌 ‘르네 속의 르네를 넘어서는 대상’이기 때문에 르네를 살해함으로써 욕망의 불가해성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것이 프레드가 더욱 더 강력한 판타지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판타지 속에서 프레드는 피트(Pete)로 변신하고 르네는 앨리스(Alice)가 된다. 판타지는 타자의 욕망의 근원, 비밀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자 한다. 르네의 욕망을 알지 못하는 프레드와는 달리 피트는 앨리스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고 그것을 충족시킨다. 맥고완(Todd McGowan)의 말대로 앨리스는 피트가 자신의 향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판타지 역시 가장 성공하는 것처럼 보일 때 자신의 실패를 드러낸다. 피트의 머리에 난 상처는 판타지로 봉합할 수 없는 욕망의 근원, 라깡적 의미의 외상적 실재이다. 피트 역시 에디(Eddy)라는 초자아적 아버지에게 의존함으로써 욕망으로부터의 피난처를 찾는다. 에디의 금기 속에서만 그는 앨리스를 소유할 수 있고 자신의 사랑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에디 역시 맥고완의 말대로 타자의 즐김을 바라보기만 할뿐 여성의 향유를 알지 못하는 포르노그라퍼일 뿐이다. 외설적인 법 속에 스스로의 욕망을 소외시키는 피트의 결핍과 에디라는 외설적 아버지의 결핍이 겹칠 때 피트는 다시 프레드로 바뀐다. 앨리스라는 욕망의 근원에 너무 가까이 갔을 때, 판타지를 가능하게 하는 거리가 상실된다. “너는 결코 나를 가질 수 없어” 앨리스는 처음부터 없었다. 아버지는 이미 항상 죽어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프레드는 이제 ‘딕 로랑(에디)은 죽었다’고 말할 수 있다. 영화의 첫 장면, 인터폰에서 흘러나오는 그 말을 이해할 수 없었던 프레드는 이제 인터폰에 대고 외친다. 불가해한 욕망을 불러 일으켰던 메시지는 판타지나 초자아의 법을 횡단한 후에 주체화된 형태로 되돌아온다. 피하고자 했던 곳으로 다시 돌아오는 반복의 움직임은 그러나 욕망의 곤궁에 대한 해결책이 아닌 또 다른 곤궁만을 보여준다. 판타지의 횡단은 판타지의 바깥이 없다는 것을 고지할 뿐이다. 이것이 다시 프레드가 로스트 하이웨이로 나서는 이유이다.
민승기 / 영어학부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