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괜찮은 죽음 - 어떻게 받아들이고 준비할 것인가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사서 읽었는데 제목에 낚였다는 생각을 내내 하면서 읽었다.

그러나 내용은 정말 좋았다. 원제는 책의 내용을 정말 잘 표현해 주었다 생각한다. 무슨 생각으로 한국어 제목을 저리 지었을까? 장제목 중에서 고른 것 같은데 원제를 번역하는 것보다는 더 낫다고 생각했나보다. 그리고 나같은 사람이 많은가보다는 생각도 잠시 들었다.

어쨌건 책 내용은 신경외과 의사가 환자를 수술하면서 했던 실패를 되돌아보며 후회와 자책을 기록했다. 읽으면서 너무 진솔한 저자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져서 슬펐다.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의 실패를 통해서 어찌 느끼는지를 기록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겠지만 그것보다도 더 눈에 들어 온 부분은 영국의 의료보험 체계에 대한 내용이었다. 어릴 때 읽었던 소설을 통해서 영국 의료 체계가 이원적이라는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공공 의료 체계가 이런 식으로 운영되는지는 처음 알았다. 공공 병원에서 수술을 마치고 입원할 병상이 없어서 수술을 미루거나 취소해야 하는 상황이라니...

저자가 불합리한 상황에 대해 불평을 하는 대목들은 웃기기도 하고 마음도 아프고 모든 조직이 관료화 되면 나타나는 현상이겠거니 하는 생각도 들고. 사실 선의만 믿고 조직을 이끌어가는 것은 도박이라 생각하니까. 심지어 이 책에서도 모든 의사가 저자 같지는 않다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으니까. 

책 제목인 참 괜찮은 죽음에 나오는 인물은 저자인 헨리 마시의 어머니이다. 아들은 의사이고 딸은 간호사인 어머니는 죽음을 자신의 집에서 맞이한다. 아들과 딸이 어머니 임종 때까지 같이 생활하며 보살펴주었다. 아마 많은 경우에 이렇게 하기는 쉽지 않겠지. 영국이라도. 그리고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무조건 숨만 붙어 있는 상태가 살아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것 같다.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살면서 결정해 두기는 해야겠지만 그 누가 알까. 죽음에 직면했을 때 마음이 어느 쪽을 선택할지. 

가장 기억에 남는 대목은 치료를 하지 않고 죽음을 기다려야 하는 현실이었다. 굶어서 모든 기능이 정지할 때까지 긴 시간을 지내야 하는 상황. 십 몇년 전에 그런 모양으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을 실제 본 적이 있는데 환자보다 가족들이 걱정이 되었다. 특히 아이들. 정말 우리가 아는 해골 모양이 되어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때 문병 가서 방문 밖에서만 보고 그냥 나왔던 일이 지금까지도 후회가 된다. 손이라도 잡고 인사를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솔직히 말하면 무서웠다. 

삶의 질도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치료가 회복을 보장할 수 없고 어마어마한 통증을 견뎌야 한다면 죽게 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최근에 본 연극 <킬 미 나우>가 이런 주제를 다루고 있더라. 참 이상한 것이 어떤 주제에 관심을 두게 되면 책이든 영화든 연극이든 비슷한 것들이 주위에 넘쳐나더라. 

하지만 이 책은 죽음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부수적이고 본질은 신경외과 의사가 자신이 환자를 수술하면서 켜켜이 쌓인 마음을 털어놓고 싶었던 것 같다. 

사실 의사가 수술하면서 일부러 환자에게 나쁜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그러나 의사는 환자에게 일어난 그 불행을 평생 마음의 짐으로 지고 산다는 것이다. 

의사가 되고 싶은 사람이나 아이가 의사가 되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꼭 읽어 보았으면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