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한 번 읽었지만 전혀 새로운 느낌이다.

  군국주의 운운하는 평가가 있기는 하지만 작가 개인의 신념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포장해서 드러낸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작가의 생각에 어느 부분은 동의한다. 특히 기동보병은 전투를 경험하지 않은 자를 사관학교에 보내지 않는다는 소설 속의 내용은 아주 좋은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모름지기 장교란 사병 생활을 해봐야 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한표. 어떤 지위라도 마찬가지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또 모든 기동보병은 함께 싸운다는 생각도 멋지다. 그리고 또 하나 권리란 행사할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만 준다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만인이 과연 똑 같은 권리를 향유할 책임을 가질 수 있나?

 

   이 책도 예전에 한 번 읽었는데, 줄거리도 잘 기억이 안난다. 그때 재미있게 읽었다는 기억이 있었는데, 다시 읽어보니 전혀 모르는 내용이 너무 많아 새로웠다. 몽테크르스토 백작 운운하는 책 소개글은 전혀 아니올시다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에 갑자기 내용이 이상하게 전개되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완전하게 마지막을 읽은 것은 아니다. 인간의 정신만으로 시공간을 넘다들수 있는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생각은 대단하기는 하지만(사실 가능할지도 모른다)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었다. 아무튼 재미는 있다. 등장인물들도 모두 개성적이면서 괜찮은 인물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올리비아라는 인물만 이해가 안가지만.

 

   오늘(10월 1일) 읽은 책.

  책 광고를 보면서 완전히 아프리카 식의 생활방식이 고착화된 특이한 행성의 생활인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것이 아니라 키쿠유 족의 생활방식에 따라 살려고 했던 인물의 실패담이다. 특정한 부족이 전혀 생소한 환경에서 생존 투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 인물의 머릿 속에 있는 이상사회를 건설하려는 계획에 따라 움직여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사실 기후같은 아주 중요한 생존조건을 통제가능한 사회가 원시 부족사회와 같을 수는 없다.

 이야기에 나오는 많은 우화들을 읽으면서 우화란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우화의 기능 같은 것. 아동문학론에 나오는 문구로는 그 역할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모양이다. 역시 사람이란 맥란안에서 이해하는 것이 가장 빠른 것 같다.

신념 안에서 살고 신념을 추구하는 인물은 개인에게 아주 냉혹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초등학교 6학년때부터 번역했다니. 지금 발견한 것인데, 개정판이 나왔다. 그리고 역자가 말했던 [먼산에서]에서도 이번에 같이 나온 모양이다.

 산에서 혼자 겨울을 난 소년의 이야기이다. 재미있게 읽었다.

 

 

                                 

 재미있는 이야기이기는 하다. 살라딘이란 인물에 대해서 유대인 서기가 기록하는 것처럼 진행된다. 살라딘이 이라크에서 지금 박해받는 그 민족 출신이라고 했는데, 기억이 안나네. 쿠르드족이다. 조금 전에 찾았다. 중세의 그럴듯한 외교 문서는 수사학의 대가들이 작성한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고.

술탄의 아내인 자밀라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이 책도 서가를 훑어보다 발견했다.  도서관에서. 예전에 책 광고할 때 보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었거든.

 천사인지는 잘 모르는 존재이고, 아무튼 주인공 소년의 갓 태어난 아기 동생의 생명과 연관된 이야기이다.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