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거짓말쟁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돌아보라고 말한다.  

진화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거짓말하는 능력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그 능력이 살아남았다는 점에 수긍이 간다. 게다가 우리는 늘 믿을 자세가 되어 있다. 대부분의 일상 생활에서 다른 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많은 에너지를 쏟지 않도록 해주기 때문에 '진실편향'의 성향도 살아남았다. 사실 두 가지 성향 모두 생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우리 인류 유전자에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거짓말 하는 일은 거짓말하는 사람에게도 정서적으로 상처를 남긴다는 말이 참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리고 악의적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은 속이는 쾌감을 얻기 때문이라는 주장에는 섬뜩하다. 일종의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란다. 정말 사기는 아무나 치는 것이 아니기는 하다. 이런 사람들은 사기당한 피해자에게 전혀 동정을 느끼지 않는단다.  대부분 사기 사건에 피해자의 경우에도 사기꾼의 말을 믿을 마음 자세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해자와 피해자의 합작이 사기라고도 했다. 아마 상대의 말을 맹목적으로 믿지 않고 사실을 점검하기만 해도 사기에 넘어가지는 않을테지만 마음이 믿기로 한 상황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기는 하다. 

191-92쪽 <우울증을 연구하는 학자들 말에 의하면 의학적으로 우울증 처방을 받은 사람 중에는 자기 자신을 놀라울 만큼 냉철하고 정확하게 바라보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이런 현상을 '우울증적 현실주의 경향'이라고 한다.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주변 상황에 대한 자신의 통제력, 자신이 긍정적 결과에 미친 영향, 그리고 자신의 장단점을 명확히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어떤 면에서 우울증 환자들은 세상을 비이성적으로 비관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예사롭지 않게 냉철한 시각을 지닌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우울하면 세상을 명확한 시각으로 보게 되는 건지, 명확한 시각으로 세상을 보니까 우울해지는 건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적어도 우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과 달리 자기기만에서 위로를 얻지 못한다는 점이다.> 

361-62쪽 <우리 사회는 거짓말을 필요로 한다. 우리 사회에서 거짓말이 쉬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백 퍼센트 정직한 사회는 불가능한 꿈이다. (그리고 아무도 원치 않는 꿈이다.) 하지만 사회 구성원 각자의 실천 의지로 좀 더 정직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가능하다. 각자가 실천해야 할 아주 간단한 것, 그건 바로 거짓말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진실은 불편하다. 사람을 민망하게 만들고 심지어 상처를 주기까지 한다. 하지만 진실을 말하는 데서 오는 짜릿함도 반드시 존재한다. 상대의 진심을 듣는 짜릿함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나아가 진실은 실질적인 혜택도 준다. 사람들이 자기 편리에 의해서(또는 사악한 목적을 위해서) 지어낸 말이 아니라, 명명백백한 사실에 근거해 서로의 의견과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면 그만한 혜택이 어디 있는가. 

정직이 만병통치약을 아닐지라도 최선의 정책인 것은 여전한 사실이다.>   

법의 눈으로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쉽고 재미있게 읽었다. 저자의 최근작인 [확신의 함정]을 읽기 전에 먼저 읽어 보았다. 어떤 문체인지 확인한 후에 새 책을 보아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지 싶었다. 어떤 내용일지 추측은 하지만 새 책도 재미있을 듯 하다. [디케의 눈]에 사례로 든 예들이 1장의 세 개 정도 사례를 제외하고는 미국 이야기여서 약간 아쉬웠다. 제일 인상깊었던 사례는 트럭에 치여서 죽은 소년 이야기였다. 청소년에게 읽혔을 때 어떤 감상을 이야기할 지 궁금하다.  

 이 책은 [자기 사랑의 심리학]으로 제목이 변경되어 나왔더라. 게다가 개정판으로는 전에 읽었던 기억이 났다. 그런데 다시 읽으면서 왜 거의 전에 읽었던 사실이 기억이 나지 않을까? '면박꾼'이라는 단어만 기억에 남아있었다. 저자가 말한대로 이 책은 한번 읽고 휙 던져버릴 책은 아니고 가지고 있으면서 열심히 읽고 저자가 시키는대로 연습을 해야 할 책이다.  

내가 열등감과 자기 불신에 시달린다고 생각해 본적은 없었는데 읽다보니 그런 부분이 있네하는 깨달음이 들었다. 게다가 부모로서 아이 내면에 면박꾼을 만들어준 것은 아닌가하는 반성을 더 깊이 하게 되었다. 많은 잘못을 저지르면서 살지만 그래도 고치려고 부단히 노력하는 자세는 스스로에게 칭찬하고 싶은 점이다.  

 

다윈의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에 대하여]와 인류학자인 폴 에크만의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에 바탕을 두고 사람에게 나타나는 긍정적 감정을 연구하였다. 여러가지 관점에서 긍정적 감정이 어떻게 표현되고 우리 유전자 안에 들어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실 진화심리학, 뇌과학, 진화생물학 관련 분야의 교양서를 여러 권 읽었다면 대부분의 내용이 새롭지는 않을 것이다. 내 경우에도 처음 알게 된 사실은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이라는 것이었다. 아무튼 이 분야의 연구도 엄청나게 노력을 필요로 할 것 같다.  

제일 낯선 것은 공자의 인 사상을 자기 연구의 전제로 한 점이었다. 사실 이 설명은 잘 이해가 안 되었다. 저자는 책의 마지막을 '우리는 선한 존재로 태어났다'는 문장으로 마무리한다. 물론 나도 그렇다고 믿고 싶다. 하지만 과연 모든 사람이 선한가? 잘 모르겠다.  

주말 동안 읽은 책이 묘하게도 믿음이라는 주제로 연결되는 듯 해서 신기하다. 아니면 내가 특별하게 그런 식으로 책들을 해석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지금 현재 내 상황에서 믿음이라는 주제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