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분노를 잘못 다루어서 폭군이 되거나 물러난 왕이 되지 말고 분노대왕이 되라고 조언한다.  

긍정적인 에너지가 될 수 있는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는 도중에 며칠 전에 읽었던 저자들 책을 언급해서 좋았다.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더 깊은 내용을 알고 싶으면 이런 책을 읽으라는 안내로도 이해할 수 있으니 좋다. 아마 읽지 않았다면 찾아서 읽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번역서 존재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 번역서를 검색해보는 수고를 했을까나? 편집에서 이런 수고를 해 주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60. 분노란 당신이 선호하는 세상에 들어맞지 않는 것이 발생했을 때 느끼는 통증이라고 말할 수 있다. 

63. 창의적인 사람에겐 어수선함이 함께한다. 완벽한 태도를 가진 사람에겐 지루함이, 추진력이 강한 사람에겐 섬세하지 못함이 짝이 된다.~~ 분노는 깊이 탐구해보면 많은 장점을 가져온다. 그러나 분노의 표면은~~충분히 반짝이지는 않는다.  

165. "매일이 휴일이라면 그것이야말로 아주 훌륭한, 그리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옥의 정의가 될 것이다." 조지 버나드 쇼는 이렇게 냉소적으로 말하면서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의 부유함이 과연 바람직한가를 묻는다. 

221. 일상생활에서 이런 방법을 훈련받지 못하고 흥분까지 한 상태라면 우리는 관찰, 가치 평가, 요구등을 모두 합쳐서 비난이라는 반죽을 만든 다음, 거기에 분노를 담아서 상대방의 머리를 향해 던져버린다. 그 결과 우리는~반죽을 되돌려 ~ 

223. 성격상의 약점 대부분은 과거에 있었던 장점의 이면이다. 당신의 성격이 발전해가는 과정을 때때로 교정하지 않는다면, 장점이 과도하게 드러나 약점으로 변한다. 

289. 아이가 하는 말대로 반응하지 말고, 아이의 말이 의미한대로 반응해주라. 마주 보기라는 건 평가하는 게 아니다! 아이를 보고 당신이 아이에게서 인식하는 것을 말해주라. ~~ 아이들이 필요한 건 칭찬이나 좋은 평가가 아니라 반사하기다. 

 290. '눈길만 주지' 말고 '보도록' 더욱 신경을 쓰라. '눈길을 주는' 건 눈으로 하지만, '보는' 건 가슴으로 한다. 

292. 이런 방식으로 당신은 아이를 반사하고, ~ 아이가 인간의 최고 목표중 하나인~ 제스퍼 줄은 자기 느낌이란 스스로를 느끼고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거라고 정의했다. 교육이 이것을 전부 만들어주지는 않지만 중요한 첫걸음이 된다! 

295. 중요한 건 도덕적인 판단은 피하라는 것이다. 아이는 자기가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따라서 아이를 비난하지 마라. 당신은 근거를 대서 이야기할 수는 있지만, 비난해서는 안된다. 거기에 도덕이라는 몽둥이를 휘두르는 행동은 더더욱 해서는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