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항상 나르시시즘적인 상처를 조금씩은 받는다. 예를 들어 친구가 바보라고 부를 때, 배구팀에 뽑히지 못했을 때, 대학에 떨어졌을 때, 고용주가 나를 책망할 때, 해고당했을 때, 자녀들이 받아들여 주지 않을 때 등이다. -86쪽
이러한 나르시시즘적인 상처는 결과적으로 우리를 비참하거 만들거나 성장시킨다. 하지만 죽음은 커다란 문제이다. 우리에게 존재론적인 소멸이 다가오는 것만큼 우리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나르시시즘적인 애착과 자부심을 위협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따라서 우리가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87쪽
우리들에게서 정신적으로 가장 건강하지 않고 가장 성숙하지 못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신비로움에 대한 심미안이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호기심이 부족한 상태이다. -99쪽
이러한 결과는 자기애를 신중하게 드러낸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자기애는 자기에 대한 배려, 존중 그리고 책임과 자기 이해를 함축한다.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없다. 하지만 자기애와 자기 중심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성공한 사람들은 배우자와 부모를 사랑하고 상사를 배려한다. -115쪽
우리가 괜찮지 않다는 것, 우리 모두는 좋은 상황에 있지 않다는 것, 완전하지도 않다는 것, 죄 없이는 존재할 수도 없다는 것 등을 깨닫게 되려면 깨지는 순간이 필요하다. 우리가 성장하려면 죄의식을 느끼는 순간들, 회개의 순간들, 자만심을 버리는 순간들, 우리 자신을 불편하게 만드는 시련을 견디는 순간들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순간에도 역시 우리 자신을 소중히 하고 사랑해야 한다. 우리 자신을 사랑할 수 없고 완전하다고 느껴지지 않을 때조차 우리는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내부에서 뭔가를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자각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123쪽
... 반면에 사이비 종교의 특징은 구성원들을 세뇌시켜서 일단 참여하게 되면 떠나지 말 것을 강요하고, 여기에 속한 사람들은 개성이 없이 다 똑같아진다는 점이다. 구별하기 좋게, 나는 사이비 종교의 열 가지 특징을 밝혀 보았다. 1. 카리스마를 가진 단 한명의 지도자를 숭배 2. 숭배받는 내부 집단 3. 비밀스러운 관리 4. 재정 은폐 5. 의존 6. 천편일률 7. 특수한 언어 8. 교조적인 교리 9. 이단 10. 속박된 하느님 -288쪽
특정 단체를 평가해서 그 단체가 사이비 종교라고 지적하려 할 때, 이 열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시켜야 할 필요는 없다. 서너 가지만 들어맞으면, 나는 의심을 하고 본다. -29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