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마이클 셔머 지음, 류운 옮김 / 바다출판사 / 2007년 11월
장바구니담기


과학기술을 추구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한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더 낫다든가, 한 생활 방식이 다른 생활 방식보다 더 도덕적이라든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더 행복한 것은 아니다. 과학기술에는 많은 한계가 있으며, 양날을 가진 검과 같다. 현대 세계를 이룬 것이 과학이긴 하지만, 그 세계를 파괴할 수 있는 것도 과학이다. -94쪽

회의주의자이자 비판적 사고자인 우리는 감정적인 대응을 넘어서야만 한다. 다른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잘못 사고하게 되는지, 과학이 어떤 식으로 사회적 통제와 문화적 영향을 받는지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이 세계의 운행 방식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과학뿐만 아니라 사이비 과학의 역사까지 이해하는 것이 그토록 중요한 까닭이 바로 이 때문이다. -128쪽

도덕성은 도덕의 기준틀에 따라 상대적이다. 도덕성이 인간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 구상한 것임을 이해하기만 한다면, 다른 사람들의 믿음 체계에 대해서, 나아가 타인에 대해서도 더욱 관용을 베풀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타인의 행동에 대한 최종적인 도덕적 조정자로 자처하고 나서는 집단이 있다면, 특히 그 집단의 구성원이 자기들이 옳고 그름의 절대적인 기준을 발견했다고 믿는다면, 그때부터 관용은 물론 이성과 합리성의 몰락이 시작된다. 다른 무엇보다도 컬트, 종교, 국가 등 개인의 자유에 위해가 되는 모든 집단들이 가지는 특징이 바로 이것이다. -233-234쪽

과학에서는 최종적인 정답이란 없다. 오직 다양한 정도의 확률만 있을 뿐이다. 과학적 '사실'조차도 잠정적으로 동의를 표하는 게 합리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만 확증된 결론일 따름이며, 그렇게 이루어진 합의는 결코 최종적이지 않다. 과학은 일련의 믿음들에 대한 긍정이 아니라, 끊임없이 반박과 확증에 열려 있는 시험 가능한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탐구의 과정이다. 과학에서 지식은 유동적이고, 확실성은 잡을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결정적으로 과학을 제약하는 것이며, 또한 과학이 가진 가장 큰 힘이기도 하다. -2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