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 김씨의 나무 작업실
김진송 지음 / 시골생활(도솔)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누군가 나의 이름을 불러주면, 그제서야 나로서의 의미가 생긴다.
사람들 속에서 잊혀진 사람은, 더 이상 사람이 아니다.

목수 김진송씨는 나무에게 이름을 붙여주는 사람이다. 그의 손을 거친 나무들은 의미를 갖고 세상에 다시 태어난다. 나무는 의자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가끔은 벌레가 되서 돌아오기도 한다. 그의 손이 움직이는대로 나무는 새롭게 태어난다. 오동나무도 은사시나무도 더 이상 숲 속의 나무가 아니라 하나의 의미있는 존재가 된다. 각각 하나씩 사연을 갖고 쓰임새를 갖는다. 사연이 없는 존재는 없다. 내가 태어난 곳, 내가 자란 시간, 내가 꿈꾸는 미래 모든 것이 사연이 된다. 인간에게도 있지만 그 사연이란 것이 나무에게도 있다. 나무는 따듯함을 가지고 있다. 눈으로 보기에는 차가워보이지만 속은 따듯하다. 그 속에 가득찬 마음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나무테가 그대로 들어나는 작품이면 더욱 그렇다. 나무가 겪어온 세상이 보일 때 나무의 가치가 극대화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건데, 글보다는 작품에 더 중점을 두고 본 것 같다. 다시 말하면 그림만 열심히 봤다는 것이다. 글을 읽고 보는 작품들은 마치 움직일 것만 같았다. 그러면서 나도 나만의 작품 하나 만들어봤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