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향 사진관
김정현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람이 이처럼 한결같을 수 있을까..
책을 읽으며 답답한 마음을 떨칠수가 없었습니다.
다른 방법은..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자신의 꿈을 이루면서 식물인간인 아버지를 모실 수 있었던 방법은 없었을까..
아버님의 병환으로 자신의 삶을 온전히 포기한
그래서
어찌보면 꽉 막힌 인생속에 스스로를 가둔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만큼 많은 신뢰를 받고 산 인생이 아니었나 싶기도 하였답니다.
부모님에 대해
친구들에 대해
아내에 대해
마지막으로 자식들까지 그에게 온전한 신뢰를 펼칠 수 있었던 건 그 무엇보다도 그의 변하지 않는 삶때문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용준 역시 다른 삶을 꿈꾸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가끔은 화가 난 모습을 더 많이 보였을 수도..
하지만 아버지에 대한 온전한 사랑 하나로
그 모든것을 다 포기하지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고향사진관을 져버릴 수도 없었을겁니다.
그리고 그 노력은 자신 혼자만의 것이 아니었지요.
솔직히
여자로써 이 책을 읽으며 답답했습니다.
내가 용준의 아내라면 이처럼 살 수 있었을까? 멀쩡한 시절 한번 볼 수 없던..
그래서 시아버님에 대한 며느리의 사랑을 한번 받아보지 못했던
그런 시아버님을 위해 신혼여행도 뿌리치고 17년간의 뒷수발을 감당할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 아닌 의문까지 품어지더군요.
이런 사람이 정말 있을까? 하는 의심을 담은채 책을 읽어 나갔는데..
자신의 삶을 다 포기한 그에게 남은건 결국 허망한 죽음뿐이더군요.
그 죽음에
나도 모르게 흘러내리는 눈물을 참을수가 없었지만..
어쩜 그 눈물의 의미는 아쉬움과 미련때문에 뒤섞여 나온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속절없는 인생이라는 말이 바로 이런데서 나오는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
그런 그의 삶이 제 눈으론 애처롭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했지만
그는 많은 사람들의 신뢰를 가득 안고 세상을 떠나더군요.
소설이 허구라 하지만..
이건 정말 허구일거야라고 연신 생각을 했었는데..
책 속 마지막 부분에 자신의 옛 친구를 떠 올리면 쓴 글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며 또 한번의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용준의 삶은 닫혀 있는 듯 보였지만 실제론 그가 가진 아버지에 대한 사랑만큼 열려 있던 삶이 아닌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