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밭에선 배추 뽑고 갯벌에선 조개 캐요 ㅣ 책보퉁이 1
안선모.박신식 지음, 김명길.조민경 그림, 전국지리교사모임 감수 / 서울교육(와이즈아이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어쩜 어쩜 저희 아이 3학년에 맞추어 딱 제때에 나온 책이 아닌가 싶어요.
기존의 사회과학책은 어딘가 모르게 딱딱해서인지 아이가 잘 읽으려 하지 않는데..
이 책은 창작동화처럼 구성이 되어 아이가 참 쉽고 재미있게 읽어나가더군요.
솔직히
3학년 아이를 가진 엄마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거에요?
사회는 그냥 외우면 되는거 아냐? 이렇게 생각하는 사회 과목을 아이들이 엄청 어려워 한다는 것..
그런데..
아이 책을 펼쳐보면 왠지 뒷통수를 한대 얻어 맞은 기분이 들거에요.
우리 어렸을때 배웠던 단순히 외우기만 했던 사회하고는 거리가 너무 먼 교과서 내용에 깜짝 놀라게 되거든요.
저 역시
아이가 사회 단원평가를 보고 받아온 시험 성적에 깜짝 놀라 아이를 다그쳤다가 아이의 교과서를 보고 두번 놀란 경험이 있거든요.
이 책은 그런 아이들에게 선물과도 같은 책이 아닌가 싶어요.
책속의 주인공들은 바로 우리 아이또래의 시골 학생들입니다.
어떤 아이는 농촌에 살고 어떤 아이는 산촌에 삽니다. 또 어떤 아이는 어촌에 살고 어떤 아이는 도시에 살지요.
각각의 아이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환경을 이야기를 통해 들려주지요~
예를 들어 태환이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농촌에 살면서 시금치 출하를 준비하는 아버지 이야기 또 친환경 농업을 하시려는 태환이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또 아토피에 걸려 시골로 6개월간 내려오는 사촌 동생 태진이의 이야기도 담지요. 하지만 여기에서 놓쳐선 안될 한가지가 있어요. 이야기를 통해 시골의 환경을 적절하게 보여준다는 거지요! 농촌이라 버스가 많이 다니지 않아 불편한 점. 아파트가 아니라 동물들을 쉽게 키울 수 있는점, 농사기간이 어느때가 바쁜지, 마을 사람들간의 끈끈한 정들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답니다.
물론 이 책의 내용이 여기에서 끝나는 건 아니지요.
본격적으로 각 이야기의 끝자락에는 각각의 고쟁의 생활 모습, 계절, 인구, 특징, 고장의 축제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주는 부분이 있어서 이야기속에 빠져 있던 부분을 다시한번 체크해주기도 한답니다.
이밖에도 산촌의 너와집과 관련된 이야기 어촌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갯벌, 도시 사람들이 하는 일등에 대해서도 이야기와 설명을 통해 자세히 알려주어서 사회를 암기하기보다는 이해하는 과목으로 아이 스스로가 느낄 수 있게 해 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