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진리는 나의 빛' 이라는 말이 있다. 진리를 얻고 진리를 탐구하는 구도자에게 과연 '진리'는 어떤것일까? 헤르만 헤세의 이 작품에서는 인도 바라만계층의 자제인 싯다르타가 죽마고우 고빈다와 함께 집을 떠나 사문이되고 고타마와 만나고, 또 카말라와 만나고, 뱃사공 바주데바와 함께 생활하면서 싯다르타가 진리를 얻고 지혜를 얻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있다.

진리를 찾아 길을 떠나며, 싯다르타는 많은 것을 깨닫게 된다. 세존 부처라고 하는 고타마의 가르침을 듣고서도 그는 다른 구도자들이 모두 존경하는 그에게도 자신이 느낀 고타마의 설법에 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답을 구한다. 진리라는 것이 가르침으로서 전달되어질 수 있는것인가에 대한 의문이었다.

싯다르타는 구도자의 길을 벗어나 카말라와 만나면서 사랑의 유희와 장사, 도박등에 빠지면서 그전에 자신이 경멸해 마지 않았던 일들에 몰두하게 된다. 카말라와 헤어지고 난후, 강에서 바주데바와 함께 뱃사공일을 하면서 큰 깨달음을 얻게되는데, 그것은 바로 강의 소리를 듣는 것이었다.

강의 소리를 듣고, 사물의 소리를 듣고, 자기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서 마침내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고빈다와 만나면서 싯다르타는 이렇게 말했다. '지식은 전달될 수 있어도, 지혜는 전달될 수 없다, 자신의 내면의 체험으로 얻는것이다.'라고.. 또한 진리는 말로 설명될 수 없다고도 했다.

진리라는 말이 우리 주변에서 많이 쓰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진리에 대해서 명확한 정의를 내려줄 수는 없을것이다. 왜냐하면 진리는 사람마다 다르기때문이고, 그것은 누구의 가르침이나 누구의 말을 통해 알게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체험과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를 통해 얻게된 나의 이런 진리에 대한 관점도 어쩌면, 지혜를 얻은 것이 아니라, 그냥 지식만 얻은것인줄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