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닥콩닥, 함박꽃
신원미 지음, 차상미 그림 / 머스트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머니,할아버지의 초등학교 시절 이야기란다.”
하고 책을 주었더니 신기해하고 재밌게 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는 놀이터 마음속 그림책 7
김미경 글.그림 / 상상의힘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빠와 함께 놀면서 읽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는 놀이터 마음속 그림책 7
김미경 글.그림 / 상상의힘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에 아이의 표정이 따분해 보인다. 

책표지를 넘기니 면지에 먹구름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비가 오는 놀이터의 풍경. 

아하! 놀이터에 나가 놀 수 없어서 시무룩했던 거였구나.

아이는 낮잠을 자는 아빠에게 다가가 말을 건넨다.


아빠, 내 말 좀 들어 봐요.

비는 구름 속에 살지요?

그럼 비가 사는 집이 구름이예요?


아이의 목소리에 아빠는 일어나 아이와 놀아준다.

아빠 몸이 놀이터가 되어 미끄럼도 타고 그네도 탄다.

아빠와의 놀이를 그림으로 보면서 아이의 목소리를 글로 읽는다.

몸으로 하는 놀이와 말을 하고 귀 기울여 듣는 것.

가족 속에서 위안과 행복을 느끼는 것은 그런 것들 때문이지 않을까?


아빠와 놀다보니 어느새 비가 그치고 아이는 놀이터에 나가 친구들을 만나서 논다.

뒷면지는 흰 구름 떠 있는 맑은 하늘.

아이의 얼굴이 시무룩해 있다가 즐거워 진 것처럼 하늘의 표정도 그렇게 연결이 된다.

뒷 표지는 엄마와 실뜨기 놀이를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연결되는 2편이 있을 것만 같다. 

책의 표지와 면지를 포함하여 전체가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되는 훌륭한 그림책.

무엇보다 읽는 내내 보모와 자식 간의 사랑하는 마음이 뿜뿜한다는 것. 좋은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어 룰라 감동이 있는 그림책 7
신원미 글, 이선주 그림 / 걸음동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엔 사람 수 만큼의 우주가 있다고 하잖아요. 자기의 기준으로 세상을 보는 거죠. 그 이야기를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이렇게 쉽게 이야기해 줄 수도 있군요.
그리고 마지막 장면 ˝하하하˝ 웃게 되네요.
악어룰라 사랑스러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xhide83 > 아프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그래도 행복하다.

열 명 남짓한 아이들이 전부인 작은 분교의 일개 초등학교 교사가 써 내린 글들이 '해방 이후 초등 교육 현장에서 거둔 최대의 교육성과'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내세울만한 학벌이 있는 것도 아니요, 쌓아놓은 부가 하늘을 찌르는 것도 아니며, 교수나 국회의원, 의사처럼 어디 가서 떳떳하게 내밀만한 명함 한 장이 있는 그도 아니건만 사람들은 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한다.

사실 나는 그를 알지 못했다. 추측컨대 아마도 이 땅에 그를 아는 사람보다는 모르는 사람이 더 많았고 또 많을 것이다. 그는 잘 나가는 교수도, 9시 뉴스에 밥먹듯 등장하는 국회의원도, 작은 눈을 감쪽같이 크게 만들어준다는 유명한 강남의 모 성형외과의도 아니므로 말이다. 그러나 나는 누군가 우연히라도 이호철이라는 사람 혹은 그의 이야기를 만나게 된다면 일단 지나치지 말고 진득하니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그 혹은 그의 이야기에 몰두하라고강권하고 싶다. - 확언하건데 그는 잘나가는 교수나 유명한 국회의원, 의사가 줄 수 없는 어떤 진귀한 것을 선물할 것이다.

뭐랄까? 이 책은 상처받은 사람이 단상에 올라 적나라하게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 보이며 아픔을 성토하는 대회(?) 같은 느낌이 든다. 일기를 '검열'하는 부모로 인해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로 충만한 아이의 기가 꺾인다. 유일한 숨통이었던 일기라는 '내 공간'마저 부모라는 감시자에게 점령당했으니 그 답답함이 오죽하겠는가. 어디 그뿐인가. 자신의 화조차 다스리지 못하는 아직 '덜 자란' 어른에게 영문도 모르고 만신창이가 되도록 얻어맞은 아이의 가슴에는 지워지지 않을 상처가 남는다. 오죽하면 엄마, 아빠를 '사랑한다'가 아닌 '증오한다', '무섭다'라고 표현하겠는가. 매일같이 아빠가 엄마를 때리고 엄마가 아빠에게 독설을 퍼붓는 건강하지 못한 가정은 또 어떠한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안고 사는 것 마냥 아이는 불안에 떨 것이고, 이 불안한 하루하루는 아이에게 폭탄이 터졌을 때만큼이나 깊은 상처를 남길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진한 감동을 받았다고 했다. 그렇다면 이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적나라하게 까발려진 상처가 감동을 주는가? 아니면, 그저 상처받은 아이들에 대한 가여움이 감동으로 오해된 것인가? 그도 아니면, 도대체 이 상처를 어떻게 치유할 수 있겠는가 하는 분노가 감동을 만들어낸 것인가? 아니다. 감동은 상처 자체 혹은 상처에 대한 동정이나 분노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그 상처를 이해하는 마음, 어루만져주는 손길이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이호철 선생님은 그 마음을, 그 손길을 가진 사람이었다.

나는 문득 어떤 생각을 하고는 참 우습다는 생각이 들었다. 맞아서 피멍이 들었다고 적고 있는데도, 집에 돈이 없어서 고아원에 가야할 지도 모르겠다고, 집나간 엄마가 보고싶어 오늘도 한없이 울었다고 적고 있는데도 그런 아이들이 부럽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평범한 가정에서 평범한 행복을 누리고 살았던 나의 평범한 과거사 속에는 눈을 부릅뜨고 찾아봐도 없는 무언가가 그들에게서 발견된 것이다. 10살, 이제 겨우 곱셈이며 나눗셈을 배우고, 이제 겨우 나리나리 개나리를 부를 나이에, 콩쥐팥쥐며 신데렐라를 읽으며 권선징악을 배울 나이 10살에, 이 팍팍한 세상 이제 고만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아이들.

처음에 나는 그런 아이들이 한편 무섭고, 한편 가여웠다. 그러나 나는 정말 모르는 사람이었다. 아이들의 죽고 싶다는 말이 실제로 죽음을 표현하는 말이 아님을, 그 말에 삶에 대한 의욕이 얼마나 강하게 내비치고 있는지를 나는 정말이지 몰랐던 것이다. 아마도 아이들은 잘 알고 있으리라. '이제 고만 죽고 싶다'는 말이 '어떻게든 살고 싶다'는 말과 같음을 선생님이라면 알아줄 것이라는 것을. 나는 아이들과 선생님 사이의 그 알 수 없지만 왠지 알 것 같은 대화, 그리고 그 대화가 이루어지는 믿음으로 가득한 일기장, 그것이 한없이 부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