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W TO READ 비트겐슈타인 ㅣ How To Read 시리즈
레이 몽크 지음, 김병화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하우 투 리드 비트겐슈타인
신비적인 철학자라기보다 신비스럽게 포장된 이 철학자를 읽는 방법은 다양하다. 레이 몽크는 그의 철학을 연대기적으로 구성하여 첫 번째 글 “캠브리지 리뷰”부터 마지막 글 “철학적 언급들”까지 배열하고 있다.
논리 실증주의를 주장한다고 간주되는 “논리철학논고”의 주장은 이러하다. 언어에는 논리적 구조가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와 관계를 맺는다. 단어는 대상을 반영하며, 명제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리고 세계는 사실의 총합이고, 우리의 언어는 명제의 총합니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라” ; 이는 사실이 아닌 것은 명제로 표현될 수 없으니 표현하려 하지 말라는 뜻이다. 윤리적 사실, 미적 사실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런 것들을 언급하는 명제 역시 의미가 없다. 철학적인 사실 따위도 없다. 그러나 그는 “말하지 말라”고 말하기 위해 사다리를 타고 올라온 다음 치워 버리라는 은유를 사용한다.
후기 철학에서는 “명제가 사실의 반영”이라는 주장을 반대하며, 명제들(단어들)이 다양하게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름명사처럼 ‘대상-단어’의 구조로 모든 명제를 환원하려고 한 것은 과학주의에 의해 추동된 소견일 뿐이다.
사적 언어에 대한 주장은 이렇다. 그것은 고통같은 내적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가 화자에게만 알려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그가 고통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가에 대해서 가지는 의문을 해결하려 한다. 답은 이렇다. ‘안다’라는 어휘의 일상적 용법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상자 속에 딱정벌레를 넣고 그것을 봄으로써 대상을 아는 것처럼, 우리의 언어를 대상-단어 식으로 이해하려 한다면, 명시적 정의나 지칭 대상으로 언어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타인의 고통을 아는 것은 문제가 된다. 그러니까 전제를 버리라는 것이다. 애초에 ‘믿음’ ‘욕망’ ‘고통’ 등은 공적인 용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감각 지각’자체는(소여는, 고통을 표현하는 언어 말고) 아무것도 아닌가? 그렇지는 않다. 그것들은 무언가도(언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아니지만 아무것도 아닌것도 아니다. “결론은 그저 아무것도 말해 질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차라리 아무것도 아닌 것이 낫다. 우리를 여기까지 밀고 온 문법을 거부했을 뿐이다.”
그는 후기 저작 철학적 탐구 2부에서 과학적 문화와 대립시키는 예술적 문화에 대해 언급하고, 계량적 증거에 반하는 비계량적 증거를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