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 존 가트맨.최성애 박사의
존 가트맨.최성애.조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어릴 때는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하지 못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기 전까지느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지 않더라도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때론 혼을 내고, 때론 어르고 달래거나 설득하면 아이는 대부분 부모 말을 듣습니다.

 

왕따를 당하는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공통점은 정서적으로 미숙하고 감정 조절이 잘 안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조금만 놀려도 지나치게 울고, 호들갑을 떨거나 반대로 전혀 무감각하며, 자신과 상대의 감정에 대한 인식과 적절한 대응 능력이 부족한 아이가 왕따를 당하는 경우가 높다는 것입니다.

 

감정이 그 감정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뒤에 또 다른 감정이 깔려 있는 감정을 초감정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메타 감정이라고 하는 데,  meta는 ~뒤에, ~넘어서라는 뜻이므로 결국 초감정은 감정 뒤에 있는 감정, 감정을 넘어선 감정, 감정에 대한 생각, 태도, 관점, 가치관 등입니다.

 

초감정에 대해 나-전달법으로 전하는 방법이빈다. 먼저 상황에 대해 중립적으로 말한 뒤, 그때의 감정을 묘사하고, 원하는 바를 요청합니다.

 

개인에게도 건강한 아이와 어른 사이에 균형이 필요하지만, 관계에서도 그렇습니다. 엄마의 어른이 과도하게 크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딸의 아이는 비례적으로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엄마가 자꾸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 조심해라, 떠들지 마라고 하면 아이는 어른스러워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아이 영역이 커집니다.

 

Should를 빼고, Want를 넣어보세요. 아이를 깨워 늦지 않게 유치원에 보내야 해 (Should) 대신 아이가 제 시간에 유치원에 가기를 원해 (Want)f로 말해라.

 

중요한 감정은 모두 수용해주되, 행동에는 분명한 한계를 그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아무리 무섭고 싫다고 해도 의사선생님한테 욕을 하거나 때리면 안 된다거나, 이를 치료 받지 않고 더 썩게 두어서는 안 된다는 한계를 확실히 정해야 합니다.

 

<감정코치형 부모의 특징>

1. 아이의 감정은 다 받아주되 행동에는 제한을 둔다.

2. 감정에는 좋고 나쁜 것이 있다고 나누지 않고,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로 다 받아들인다.

3. 아이의 감정을 표현할 때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 준다.

4. 아이의 감정을 존중한다.

5. 아이의 작은 감정 변화도 놓치지 않는다.

6. 아이와 정서적 교감을 중요하게 여긴다.

7. 아이의 독립성을 존중하며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도록 한다.

 

하임 기너트 박사에 따르면 아이에게는 크게 두 가지 원초적 감정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죄책감과 불안감입니다. 불안감은 아이가 어른이 될 때까지는 혼자서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느끼는 감정입니다. 죄책감도 불안감과 더불어 아이의 원초적인 감정입니다. 그래서 아이는 나쁜 상황이 일어나면 다 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든 수용이 먼저입니다. 그래야 무엇 때문에 학원에 가기 싫은지, 혹은 학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학원에 가지 않으면 어떤 방법으로 공부할 것인지등 다음 이야기를 풀어갈수 있습니다.

 

아이의 시간 개념은 어른과 사뭇 다릅니다. 아이는 대개 지금 여기를 순간으로 느끼며 살아갑니다. 아이에게 먼 훗날이라는 개념은 의미가 없습니다. 기억은 대개 상황 속에서 감정과 함께 저장되는데, 당시의 상황과 감정에서 한참 벗어난 후의 칭찬은 상황적 기억으로 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부모가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감정적 상황에 함께 있어주는 것입니다.

 

행동의 한계는 어떻게 그어주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가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아주 단순한 원칙 두가지를 권하고 싶습니다. 즉 남에게 피해를 입히는 행동과 자신에게 해를 입히는 행동은 한계를 그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감정코칭은 진정성을 담보로 합니다. 진정으로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려고 노력해야 아이의 마음이 열리고,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뻔히 보이는 의도를 가지고 감정코칭을 한다면, 아이는 부모가 감정코칭을 하려고 할 때마다 거부감이 들고 거짓말을 하거나 회피하려고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