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 - 나를 사랑하게 하는
이무석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할 수 없는 것 가질 수 없는 것에 속상해 하지 말고,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

꼭 일류 대학에 가야만 성공하는 것이 아니야.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자기 잠재 능력을 발휘하면서 살면 되는 거야.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행복한 사람들이야.

 

자존감이란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다. 사람들은 두 가지 면에서 자신을 평가한다.

1. 자기 가치감 :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남에게 호감을 주는 사람이고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다.라고 평가할 때 일어나는 감정이다.

2. 자신감 :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나는 유능한 사람이다. 내게 맡겨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자신감이 있어야 사업도 시작할 수 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감이 없다.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은 무기력증에 잘 빠진다. 자신은 무능력하기 때문에 노력해 봤자 별 수 없다는 상태가 무기력의 상태다.

 

우리 아버지는 쓸모없는 연탄재 같은 분이었다. 그러나 오늘의 내가 있기 위해서 연탄재 아버지도 필요했구나...

 

내가 정신과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가장 많이 하는 말이 현실을 인정하십시오이다. 현실을 부정하고 회피할 때 노이로제도 생기고 정신 질환도 생기기 때문이다. 정신적으로 쇠약한 사람일수록 현실을 부정하거나 회피한다. 정신과 의사들은 환자가 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아 많이 좋아졌구나하고 안도한다.

 

선천적으로 태어난 것은 우리의 노력으로 바꿀 수 없는 조건들이다. 그런데 이런 선천적 조건 때문에 생긴 열등감이 모든 열등감의 60%를 넘는다. 노력해도 바꿀 수 없는 조건 떄문에 열등감을 느낀다면 답답한 일이다.

내가 남들보다 더 잘날 필요는 없다. 나는 나에게 주어진 인생을 내 나름대로 살 뿐이다.

 

남이 가진 재산이나 탤런트를 부러워하고 좌절감을 느끼는 것이 열등감이다. 반면에 자기 탤런트를 키우는 것이 효과적인 열등감 극복법이다. 남의 손의 소과는 더 붉게 보인다.는 속담도 있다. 그러나 내 손 안에 있는 사과의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키우는 사람은 높은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다.

 

불행은 혼자 오지 않는다. 는 영국 속담이 있다. 실직에 병까지 얻으면 큰 불행이다. 이럴 때일수록 새벽 산책도 하고 규칙적인 생활로 건강관리를 해야 한다.

 

의처증은 하나의 정신 질환이다. 열등감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의처증 환자들은 신앙처럼 하나의 믿음을 갖고 있다. 그것은 아무도 나 같은 인간을 사랑할 리 없어라는 믿음이다.

 

대중 앞에 노출되었을 때 왜 공포증을 느끼게 될까? 환자들의 생각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들 앞에서 나는 분명히 실수할 거야. 그러면 나의 못난 행동을 보고 사람들은 손가락질하고 비웃고 무시하겠지. 그 창피함과 모욕감을 나는 견딜 수 없어. 그리고 내게 실망한 사람들은 나를 떠나 버릴 텐데.. 버림 받은 내 몰골은 얼마나 비참하고 볼썽사나울까.. ===> 그러나 이것은 상상일 뿐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강박 성격자는 어떻게 해서라도 주도권을 쥐려고 한다. 주도권을 빼앗겼다고 생각되면 엄청난 분노가 터져 나온다. 자기는 항상 옳고 신중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성취감이 모여서 자신감이 된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서 성취감을 느끼고 성취감을 통해서 자신감이 생긴다. 그러나 자신감이 없는 엄마는 아이에게 놀 시간을 주지 못한다. 그래서 아이는 자신감 없는 아이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낮은 자존감은 대물림된다. 아이를 믿어 주고, 자율적으로 놀게 해 주는 엄마가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는 좋은 엄마다.

 

자존감 = 성공 (success) / 욕심 (need)

즉 분모인 욕심을 줄이거나 분자인 성공을 증가시키면 자존감은 올라간다.

자존감을 회복하려면 망설이지 말고 무언가 행동으로 옮기고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