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도 군중이 받아들이면 종교적 감정처럼 여지없이 편협성을 띠고 겉으로 볼 때도 금세 하나의 광적인 종교가 될 것이다. 실증주의를 추구하는 한 소수파의 변화 과정이 이를 입증하는 흥미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도스토옙스키의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한 허무주의자에게 일어난 현상이 이 소수파에게도 일어났다. 어느 날 이성의 빛에 눈을 뜬 그는 교회 제단을 장식하고 있는 온갖 신과 성자의 형상을 부숴버리고 촛불도 껐다. 그러고는 한순간도 지체하지 않고 뷔히너[독일의유명한 유물론 철학자 루트비히 뷔히너(Ludwig Büchner, 1824-1899)]와 몰레스호트[19세기 네덜란드의 자연과학적 유물론자이자 의사인 야코프 몰레스호트(Jacob Moleschott, 1822-1893)] 같은 무신론자들의 저서로 빈자리를 채운 후 경건한 마음으로 다시 촛불을 켰다. 그런데 그가 이처럼 신앙의 대상을 바꿨다고 해서 종교적 감정까지 달라졌다고 진정 말할 수 있을까?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