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 작품을 사상으로 축소하려는 자들에게 느끼는 혐오감! 사람들이 ‘사상 토론‘이라 부르는 것에 이끌려 들게 되었을 때 내가 느끼는 공포! 작품과 무관한 사상들에 의해 몽롱해진 시대가 내게 불러일으키는 절망감!

소비에트 : 나는 소비에트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네 개의 단어, 네 개의 허위." (카스토리아디스) 소비에트 인민: 러시아 제국 때 러시아로 편입된모든 민족들을 잊어버리게 만드는 말가리개.

소비에트라는 말은 대 공산주의 러시아의 공격적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거기서 피신한 사람들의 민족적 향수에도 적합한 말이다. 이 말은 마술 같은 효과에 힘입어 그들로 하여금 소비에트라는 이름의 나라에 러시아(진짜 러시아)는 존재하지 않으며 러시아는 모든 비난에서 벗어난 곳에서 때 묻지 않은 순수한 본질로 영원히 존재한다고 믿을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나치 시대 이후로 독일의 의식은 상처를 입고 죄의식에 물들게 되었다. 토마스 만은 독일 정신에 대한 준엄한 문제 재기다. 폴란드 문화의 성숙성의 척도인 곰브로비치는 기꺼이 ‘폴란드 정신‘을 짓밟았다. 러시아인들이 때 묻지 않은 본질인 ‘러시아 정신‘을 짓밟을 것이라고는 좀처럼 생각되지 않는다. 그들에게서 토마스 만도, 곰브로비치도 나오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소설가는 어느 누구의 대변인도 아닙니다. 저는 이러한 주장을 좀 더 밀고 나가 소설가는 자기 자신의 생각을 대변하는 사람조차도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중략)
모든 진정한 소설가들은 개인적 차원 너머에 있는 이 지혜의 소리를 경청합니다. 이것은 위대한 소설들이 항상 그 작가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자신의 작품보다 더 현명한 소설가들이라면 그들은 아마 직업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