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2 - 위기로 치닫는 제국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고도 지루한 일년 간의 기다림이었다. 그리고 시오노 나나미 여사는 역시 나의 학수고대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로마인이야기 12'권이 담고 있는 분량은 현재 목욕탕으로 유명한 카라칼라 황제가 등장하는 시기(211년)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284년까지 아우른다. 이 시기는 곧 로마제국이 순수한 '로마식 정체'를 유지한 마지막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이후로는 황제의 성격이 로마의 원로원과 시민을 대표하는 '제1시민이자 Imperator'가 아니라 동방의 전제군주와 같아지기 때문이다.

단순한 수치상으로는 겨우 74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로마제국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는 이 시기에 등장한 황제의 수를 헤아릴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저자는 이 어둠의 그림자가 카라칼라 황제의 한가지 크나큰 '정치적 실책'으로부터 파생되었다고 적고 있다.

'안토니누스 칙령'. 기득권과 취득권의 차이점을 들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저자의 능력에 혀를 내두른다. 이 점은 20세기의 가장 거대한 프로젝트였던 '소비에트 공산혁명'이 만인에 대한 평등을 부르짖으며 급속도로 전 세계를 휘몰아쳤지만 결국 노동의욕의 저하와 생산성 악화로 붕괴한 역사적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즉 '누구나 갖고 있는 권리는 아무도 갖고 있지 않는 것과 같다'는 말에 수긍이 간다.

카라칼라 황제의 정치적 실책은 로마제국을 급속도로 약화시키며 결국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260년에 사산조 페르시아의 샤푸르 1세에게 생포되는 전대미문의 사태를 초래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최대의 위기에 직면한 로마제국은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아우렐리아누스, 프로부스 등의 유능한 황제 등장하여 바로잡으려고 안간힘을 쓰지만 각각 비참한 최후를 맞으며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한다.

3세기 전후반, 로마제국과 기독교 이렇게 총 3부로 구성된 부분에서 가장 주목이 되는 부분은 역시 3부 '로마제국과 기독교'장이다. 특히, 계몽시대의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의 주장과 현세대의 도즈 교수의 주장을 비교해가며 자신의 주장을 섞은 부분은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 같다. '회색지대'라는 말은 시오노 나나미 여사의 정치사상적 견해를 보는 것 같아서 웃음이 나오지만......

'로마인이야기 12'권을 애타게 기다려 온 나와같은 독자들에게 절대로 실망을 주지는 않을 작품이라 생각된다. 일독을 강력히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