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삶 1,2]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자유로운 삶 1
하 진 지음, 왕은철 옮김 / 시공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중국인이 있다. 그는 미국유학 중에 천안문 사태를 밖에서 겪게 된다. 그는 그 일 이후 자신의 조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의 삶을 택하게 된다. 지식인에게 천안문 사태가 주는 절망과 분노는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한 중국인의 미국생활은 단순한 도피일 수도 있지만 아주 개인적으로는 망명과도 같은 심정의 시간을 보내야 하는 고된 나날들의 지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이민자들이 그렇듯이, 이 사람도 미국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온갖 험한 과정을 겪게 된다. 그러는 동안에 이 사람의 목표는 자신도 모르게 수정되어 버렸다. 애초에 유학을 오게 된 것은 정치학이었지만 정작 본인은 시인이 되고자 했었다. 그러나 이민자의 삶은 그의 공식적인 것도, 사적인 꿈도 모두 내려놓게 했다. 그는 요리사가 됐고 식당을 운영하며 안정적인 생활을 꾸려가는 성공적인 아메리칸 드림의 일원이 되었다.

 

, 아메리칸 드림이 실현되었는데 뭐가 문제겠는가 싶겠지만 그것은 그 꿈의 외부에서 보는 시각일 뿐이다. 또한 자유를 위해 미국에 머물게 됐지만 어느 순간 과연 자신에게 자유라는 것이 있었는지에 대한 짙은 회의를 발견하게 되는 것 역시 이민자 자신이 아니라면 알지 못할 일이다. 아메리칸 드림을 이뤘지만 정작 자신의 꿈은 포기하게 된 아이러니를 이 사람에게서 발견하게 된다. 거기다가 조국과의 유리된 삶이라는 고독은 덤이자 이민자에게는 평생 짊어져야 할 근원적 무게감이다.

 

물론 이민자에게 경제적 안정은 최우선적 과제이다. 의식이 족해야 예를 안다는 말처럼 생존이 된 후에 꿈이고, 자유고 따실 겨를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이민자의 형이상학적 관점이란 일단 배부른 고민이라고 꼬집을 사람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배부른 고민은 과연 잘못된 것인가? 아니다. 오히려 이 배부른 고민이 이민자들에게 꼭 필요한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보면 외국 이민자들이, 버젓이 외국 영주권과 시민권을 갖고 사는 그들이 정작 그쪽 나라 정치보다 조국의 상황에 더 열심인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소설 속 주인공이 자신의 조국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다짐도 이와 비슷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무리 여권의 국적이 달라진다고 한들 한 개인이 갖는 국적은 변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들 때문에 이 소설이 중국인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지만 어쩐지 그렇게 낯설지 않은 것은 이 주인공의 상황과 한국 이민자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미국은 이민자의 나라이기 때문에 모든 이민자에게 적용될 수 있기도 하겠지만 천안문사태가 언급되는 지점에서 이 경험의 특수성은 매우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이민자도 아닌 내게 이 소설이 유난히 잘 읽혔던 이유는 요즘 우리가 국내에서 겪는 많은 일들이 이 소설의 주인공처럼 조국을 떠나고 싶게 만들기 때문이다. 안전하지도 않고, 안주할 수도 없이 떠도는 삶 같은 요즘의 상황이 마치 지금 내가 미국이나 어디 다른 나라에 유학 중이라면 귀국을 포기하고 말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또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에 기술된 이민자의 삶은 그런 충동을 제어하게 해주기도 했다. 이민자가 자유를 위해 포기해야 할 대가가 너무 컸다. 아니 자유를 위해 포기해야 했던 것 역시 자유였다. 전자는 국가와 상관한 것이고 후자는 개인의 것이다. 그래서 이 소설은 이민을 꿈꾸는 내게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주었다. 또 한편으로는 잊고 살아야만 했던 꿈을 다시 이 두 권 분량의 긴 소설을 읽는 동안 다시 가슴에 꺼내놓게 한 것도 고마운 점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