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괴물지.엠블럼, 중세의 지식과 상징 - 중세의 지식과 현대의 세계를 연결하는 '브리지(Bridge)'
최정은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5월
평점 :
중세는 참으로 알 수 없는 세계다. 서양 역사의 중간 단계이면서도 전혀 다른 세계처럼 느껴진다.
특히 중세가 낯선 이유는 중세인들은 우리들과는 전혀 다른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고 있다. 최정은의 중세이야기가 바로 낯선 중세인의 생각을 다루고 있다.
중세의 낯섦은 특히나 세계를 하나의 시각으로 바라보려고 하지 않고 다층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데서 기인한다. 심지어 그들은 하나의 사물이나 사건을 양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최정은의 중세에 대한 시각은 그리 다층적이거나 양가적이지 않은 듯 하다. 만약 이 책이 다층적이라면 아마도 그것은 중세가 아닌 최정은의 세계에 대한 인식이 다층적인 것은 아닌가 싶다.
그녀의 다른 책 "보이지 않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를 재미 있게 다루고 있지만 이 책은 중세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중세를 말하고 있지는 않다.
물론 그런 까닭은 중세가 암흑의 세계가 아님을 중세가 어느 시대보다도 활기 찬 시기였음을 보여주고자 했다는 데 있다. 심지어 그녀가 볼 때 천년전 중세의 생각은 단절되지 않고 지금도 작동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상당히 미래적인 공각기동대를 이야기하고 블레이드 러너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 아쉬움이 있다. 그런 그녀의 생각 때문에 중세의 지식과 상징을 더욱 중세적으로 읽지 못한 듯.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는 중세를 통해 본 현대적인 철학적 단상처럼 느껴진다.
거기에서 그녀의 재미 있는 중세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는 즐거움이 어느 덧 우울함으로 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