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라이터처럼 소통하라 - SNS 시대 공감과 설득의 글쓰기 가이드
소영미 지음 / 아이엠북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카피라이터처럼 소통하라 - SNS 시대 공감과 설득의 글쓰기 가이드
소영미 (지은이) | 아이엠북 | 2012-11-12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라는 영화가 인기를 끌던 당시, 카피라이터로 일하는 여후배가 몇 번의 맞선을 보고 왔다.

그녀는 자신의 맞선 경험을 이렇게 이야기했다.

! ! !

미친 놈! 더러운 놈! 변태같은 놈!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그녀는 여전히 화려한 싱글로 카피라이터로 당당하게 살아가고 있다.

난 개인적으로 카피라이터를 참 부러워한다.

짧고 간결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그 능력이 부럽다.

무슨 말을 하려고 하면 주저리 주저리 늘어놓는, 그래서 누군가는 내 글을 보고 글이 너무 길다. 그래서 네가 쓴 걸 알아보겠다.”고 했다.

짤막하게, 그러나 하고 싶은 말을 빈틈없이 채워 넣은 맛있는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싶었다.

이 책, 카피라이터처럼 소통하라의 부제는 SNS 시대 공감과 설득의 글쓰기 가이드란다.

트위터 열풍이 휩쓸고 나니 세상은 온통 짧은 글투성이다. 140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간추려 이야기해야 한단다.

심지어 내가 자주 활동하는 모임에서는 틈만 나면 오자토크를 하잔다. 달랑 다섯 글자로 이야길 하자는 거다.

이 책이 과연 이런 세상에서 글쓰기에 부담을 느끼는 나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일단 목차를 훑어봤다.

크게 둘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글쓰기의 재료 DNA 부분은 기획력, 어휘력, 문장력, 소통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두 번째는 소통하는 글쓰기 레시피라는 제목 아래에 카피라이터의 뇌, 시인의 눈, 학자의 혀 라는 무시무시한 제목과 함께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 꼭지마다 짤막하게 베껴쓰기로 연습할 수 있도록 시, 에세이 등 유명한 작가의 작품 일부를 빌려와 소개하고 있다. 펜을 들고 있다면 바로 따라 쓸 수 있도록 빈 공간도 제공한다.

이 책 19페이지에는 김탁환의 쉐이크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얼마 전 인터넷으로 주문해서 책꽂이에 꼽아두고 이제 읽어야지...’ 생각했던 책이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만의 단어장을 만들고 여기에 100 단어 이상을 선별해 넣으라는 충고를 한단다.

5년 전쯤, 문화콘텐츠진흥원이라는 곳에서 강좌를 들은 적이 있다.

그 당시, “강촌이라는 필명으로 만화 스토리 작가의 강좌를 들으며 고개를 끄덕였던 부분도 비슷한 내용이다.

작가는 두툼한 노트를 열댓 권 넘게 갖고 계신단다. 일상생활 중에 만나는 사람들을 관찰하다가 기억에 남는 경우에는 이 노트에 기록을 하신단다. 인상적인 부분, 말투, 목소리, 몸짓, 표정, 생김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나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상상을 한다고 하셨다.

아주 구체적으로, 나이, 직업, 가족관계, 성격, 취미, 특기... 물론 당사자에게 들은 게 아니니 철저하게 허구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꾸준히 기록한 노트는 작품에 그대로 활용이 되고 있다고 하셨다. 이야기를 전개하다가 막혀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때, 그 노트를 들여다보며 적당한 인물을 새로 등장시킨다. 그러면 노트에 적어둔 내용 때문에라도 이야기는 다시 굴러간다고 하셨다.

나는 무얼 했을까?

스마트폰과 컴퓨터로 동기화가 가능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짬짬이 해둔 메모가 제법 된다. 그리고 내 인생의 단어들이라는 거창한 제목의 파일에 대략 400개 정도의 단어를 적어두었다. 물론 아주 흔한 단어들로 채워져 있다. 사랑, 눈물, 여행, 믿음... 뭐 이런 단어들 말이다.

짧게 각 단어에 대한 나의 단상도 적어두었다. 가령, 첫사랑이라는 단어에는 나의 첫사랑 누이는 어디로 갔을끼?라고 적어 두었다. 그 첫사랑 누이는... 아련하게 나의 고등학생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 이 정도면 내가 글을 쓰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건 아닌 모양이다.

적어도 흉내는 내고 있는가보다 싶어 적이 위안이 된다.

다시 책 이야기로 돌아가자.

이 책의 내용은 사실 새로울 것은 없다. 글쓰기, 책 쓰기 관심을 갖고 있고 관련 책을 몇 권 읽어본 사람이라면 다들 어디서든 한번쯤 들어보았을 내용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 책을 읽는 내내 고개를 끄덕였고 밑줄을 그었다.

우선 카피라이터의 시각으로 바라본 문장 구성에 관한 정리가 마음에 든다.

게다가 글감은 어디서 구하는지, 글을 읽는 대상을 고려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와 같은 기본적인 내용도 빠짐없이, 짧고 간결하지만 꼭 필요한 내용은 꼼꼼하게 챙긴 점이 고맙다.

게다가 두 번째 파트에서는 목적에 맞게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 유머러스하게 과감하게 때로는 직설적으로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언급하고 있다.

이 책 말미에도 짧게 언급하고 있지만, 스토리텔링이라는 말이 꽤나 묵직하게 느껴지는 시대가 되었다.

재미있게 이야기하는 능력, 140자로 핵심을 전달할 수 있는 문장력, 하고 싶은 말을 조리 있게 만들어내는 힘은 결국 연습밖에 없다고 강조하며 이 책은 마무리를 짓는다.

난 지금까지 등한시해왔던 책에 대한 리뷰 열심히 쓰고, 남들의 좋은 글 열심히 베끼고, 메모 열심히 하면서 나만의 글감노트를 만들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