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 버려서 얻고 비워서 채우는 무위의 고전 명역고전 시리즈
노자 지음, 김원중 옮김 / 휴머니스트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자 도덕경은 개인적으로 두 번째 읽는다. 최진석 교수의 <노자인문학>을 무척 인상적이고 재미있게 읽어 처음 노자 도덕경을 읽을 때 정말 기대도 많이 했지만, 그 책에서는 한문 원본과 한글 번역만 있고 해설이 없어 거의 이해하기 어려웠던 기억이 있다. 이번에 새로 읽은 노자 도덕경은 우리나라에서 동양 고전의 최고 권위자 중 한 분이신 김원중 교수가 한글로 옮기고 해설도 포함시켜 새롭게 도전하게 되었다.

 

여전히 어렵고 완전히 이해하긴 어려운 책이지만 김원중 교수의 해설로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었다. 다만,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번에 걸쳐 읽으면서 내 나름대로의 묵상과 함께 인생경험이 함께 녹아야만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으면서 노자철학에 대한 윤곽이랄까 아이디어는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최진석 교수의 <노자인문학>을 읽은 지 시간이 제법 흘러 세세한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데, 그 책을 읽도 다시 한번 읽는다면 좀 더 좋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면 노자 도덕겨의 판본마다 쓰여 진 한자가 다르거나, 그 내용을 해석하는 데 있어 전문가들 간 의견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으니, 어쩌면 한문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의 입장에서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무척 힘든 일이 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내 나름의 노자철학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 성경과의 비교를 통하면서 시작한 것 같다. 현재 기독교에서는 말씀이 모든 것이 중심이 되는데, 이는 다시 말하면 논리 또는 모든 대상에 대해 분명하게 분류하는 것을 기초로 삼는 것으로 생각한다. 에 반하여 노자의 철학은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고 계속하여 변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모든 것이 변한다는 사실 이외에는 어떤 것도 확실한 것은 없다는 사고를 가질 수 있게 된다고 본다. 그렇게 된다면 각 개인도 분명한 것은 아니고 자신과 자신 이외의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의 구별도 분명하지 않기에 자신 대한 욕심을 낼 필요도 없어지게 되고, 군주의 입장에서도 백성들을 대할 때 겸손하면서 따뜻하게 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상적으로 느낀 부분을 생각해 보면, 도경 4장이나 11장의 내용처럼 그릇처럼 형태를 갖춘 부분보다 비어있는 부분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이해하면서 모든 일에서 겸손하고 욕심을 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라 이해되었고, 모든 일이나 사물에서 중요한 것이나 좋은 일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사소하거나 나쁜 일로 바뀔 수 있다는 새옹지마 같은 내용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공자 철학의 경우는 상대와의 분명한 차별과 이에 따른 예의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데 주력하였다면, 노자의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서로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는 (입장을 바꿔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을 바탕으로 상대를 대하면서 겸손과 이해가 가능하다는 사고를 하는 것으로 차이를 둘 수 있는 것 같다. 공자의 경우도 측은지심 등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정을 표현하기도 하였지만 이는 상대방보다 우위에 있는 입장에서 보이는 동정으로 볼 수 있어 현재와 같은 민주주의 시대에는 걸맞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하고, 그런 의미에서 노자철학은 21세기 현재 대한민국에 오히려 유용한 철학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