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평전
조영래 지음 / 돌베개 / 198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전태일평전을 읽고 나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은 감정에 약한 편이었지요. 조금만 불쌍한 사람을 보아도 마음이 언짢아 하루종일 기분이 우울했던 그는 자신이 너무도 그런 환경을 속속들이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늘을 알고, 눈물의 의미를 알고 있는 전태일을 늘푸른은 사랑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말했습니다. '다 같은 인간인데 어찌하여 빈한 자는 부한 자의 노예가 되어야 합니까. 왜 가장 청순하고 때묻지 않은 어린 소녀들이때묻고 부한 자의 거름이 되어야 합니까?이것이 사회의 현실입니까? 빈부의 법칙입니까?' 라고……

그는 평화시장에서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으며 노동을 하면서도 자신이 겪는 고통보다 14세의 어린 여공들이 겪는 고통에 가슴 아파하고 분개합니다. 그래서 재단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노동자들의 삶을 좋게 하려고 노력해 보지만, 평화시장 뒤에 버티고 서 있는 거대한 사회 모순 속에 그의 노력은 무참하게 깨집니다. 그러나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후 수단인 분신자살을 통해 사회 모순에 불을 붙이고 전태일은 영원한 삶을 얻게 되지요. 인간적인 대우를 받고자 실천한 그의 행동에 저는 오랫동안 할 말을 잃었습니다. 죽었지만 그의 옹골참은 정녕 저에게 그가 아름다운 청년으로 남아있기에 충분했습니다.

전태일은 타의에 의해, 환경에 의해 하고 싶은 공부를 하지 못했습니다. 청옥에서의 꿈같은 학생시절이 그의 생애 중 아마 가장 행복한 순간이 아니었을까요?그러나 조영래씨의 표현대로 전태일의 정신적인 성장과정 가운데에서 이 당시에 이미 자신을 거부하는 '부한 환경'의 현실에 대한 비판, 그리고 그 현실과 싸워 이기려는 분명한 의지가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고 한다면,우리는 그가 남들처럼 고등교육을 받을 수 없었던 것을 슬퍼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현실이야말로 가장 좋은 교사이기 때문이지요.

그 현실의 가장 깊은 질곡 한가운데에서 몸부림치면서, 자기의 심장으로 느끼고 스스로의 머리로 생각할 수 있었던 사람이야말로, 교과서의 해설이나 권위자의 암시를 통하여 왜곡되는 일이 없는 현실의 벌거벗은 모습을 생생히 보지 않을 수 없었던 사람이야말로, 현실로부터 가장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그리하여 자신의 인간성을 가장 열렬하게 지킬 수 있는 것이겠지요.

비록 학력은 짧지만, 전태일은 저보다 더 성숙하고 훌륭한 생각과 사상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과연 나는 인간다운 삶을 진정으로 생각해 본적이 있었는가? 또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었는가? 자문 해봅니다. 결론은 그저 생각으로만 그치는 삶을 살아온 시간이 더 많았다는 것입니다. 내 목소리, 내 의지로 살고 싶은 소망을 갖고는 있으나, 사실 전 불안한 투쟁보다는 편안한 나태와 안일을 선호했던 것은 아닐까요? 늘 몸보다 마음이 편안한 삶을 원했으면서도 정작 앞장서서 행동으로 실천하는 삶에는 늘 비껴 서 있지 않았는지 반성합니다. 그 반성이 실천에의 의지로 내 삶을 뜨겁게 달굴 수 있었으면 더 좋겠습니다.

문득 안도현 시인의 시가 생각났습니다.
'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너에게 묻는다>전문
뜨겁게 살다간 한 사람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을 알고 있노라고 안도현 시인에게 자신있게 말하고 싶습니다.

마지막 눈을 감으면서 한 그의 한 마디는 '배가 고프다'는 것이었지요.며칠동안 그의 마지막 한 마디 '배가 고프다'는 그의 음성이 제 귀에서 떠나질 않았습니다. 그에게 따뜻한 식사 한 끼를 대접하고 싶은 간절한 소망으로 가슴이 뜨거워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