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1997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에 여자만의 문제란 없거나 지극히 적다. 여성이란 말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남성이 있어서이고 따라서 여성의 문제란 언제나 남성과 관련된 문제를 뜻한다. 그런데 상대인 남성을 적대 개념으로 다루고 방법을 투쟁만으로 일관한다면 너희 선택의 폭은 너무 좁고 비극적이 된다. 곧 이겨서 포악한 상대를 온전히 제압하나 져서 이전보다 더 엄혹한 예속과 굴종 속에 떨어지는 길밖에 없다. 더 있다면 남녀의 철저한 결별로 인류사의 진행이 중단되는 것 정도일까.

이혼은 <절반의 성공>쯤으로 정의되고 간음은 <황홀한 반란>으로 미화된다. 그리고 자못 비장하게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고 외친다.
점점 줄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자기가 이룩한 것만큼만 남성들에게 요구하는 소박하고 겸손한 여인들이 아직은 더 많다.
진정으로 괴로운 사람에게도 비명도 신음도 겨를이 없다. 괴로움을 견딜 만하면서도 그것을 내세워 얻고자 하는 무엇이 있을 때 비명과 신음소리는 높아진다. 내가 너희 괴로운 부르짖음을 애처로워하면서도 걱정하는 것은 거기서 진하게 풍기는 과장의 혐의 때문이다.
다같이 져야 하는 짐이라면, 끝내 피할 수 없는 짐이라면 조용히 지고 가는 것도 아름답다.

요즈음 유행하는 여성의 자기 성취에 관한 논의에 영악하고 탐욕스런 자본주의의 간계가 끼어들지 않았는지 솔직히 의심이 간다. 문화마저 상품화에 성공한 자본주의가 방대한 시장 개척을 위해 여성에게 걸고 있는 집단 최면이 바로 그 요란한 자기 성취의 논의는 아닐는지. 또는 그들의 논리로 보면 가정에 사장(死藏)되어 있는 값싼 노동력을 거리로 끌어내기 위해 창안해 낸 효과적인 구호가 바로 그 여성의 자기 성취는 아닌지.

여성은 제 살과 피를 덜어내고 열 달의 불편과 짐스러움을 견뎌낸 뒤 어떤 모진 형벌보다 더한 고통 속에서 피 흘려 가며 아이를 낳는다. 그러나 태어난 아이는 별로 힘들 것도 없는 원인을 제공한 남성의 것이 되고 오직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만 <무자(無子)>란 항목의, 변명할 기회도 없이 내쫓길 죄가 된다. 또 아이를 기르는 일로 손발이 닳도록 수고롭고 애간장이 마르는 것은 여성이지만, 잘 자란 아이가 성취한 것은 오직 남성의 가계를 빛낼 뿐이고 잘못되면 먼저 손가락질 받는 것은 여성이다. 남성들의 약속 위반에 대한 항의조차 <투기(妬忌)>란 이름으로 가차없이 내쫓길 죄로 만들었다.

출가 전에 깊이는 아니지만 학문의 맛을 보고, 그런대로 성취도 누렸던 기억은 여느 새댁네들과는 달리 내가 고정 관념에 맹목적으로 순응하는 것을 방해하기도 했다. 학문은 가문이라는 것이 개체로서의 나를 우선할 만한 것인가를 이치로 따져보게 했고 포기했던 성취들은 과연 가문이 그것들 중 어느 하나와도 바꿀 만한 값어치가 잇는 것인가를 헤아려보게 했다.

어쩌다 찾아드는 손님마저 푸대접으로 내쫓는 오늘날의 안주인들을 보면 나는 그렇게 해서 만들어질 다음 세상이 진심으로 걱정스럽다. 내가 보기에 간밤 자정이 넘어 취한 그대의 남편과 함께 찾아와 술을 조르다 그대의 차가운 눈초리에 번쩍 술이 깨어 돌아간 남편의 옛 친구는 귀하디귀한 손님이다. 며칠 전인가 무언가 아쉬운 일로 찾아 왔다가 그대의 쌀쌀맞은 대꾸에 말도 꺼내지 못하고 돌아간 새댁 피붙이는 물론 어제 하루 종일 그대를 대신해 집안의 궂은일을 해준 중년의 파출부도 모두 귀한 손님이다. 그런이들이 모두 사라진 뒤 정연한 이해득실의 인간 관계와 핵가족으로만 짜여진 세계란 얼마나 부스러지기 쉽고 외로운 것일까.

어머니는 여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크고 아름다운 이름이다. 여인의 가장 중요한 생산은 자녀이며 가장 위대한 성취는 그 양육이다 - 우리는 오랫동안 그렇게 배워왔고 아마도 그것은 앞으로도 영원히 폐할 수 없는 진리일는지도 모른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