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의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사회적 존재임을 고려할 때, 새로운 환경에서도 극복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항상 우리와 공존하기 때문이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단순히 회피하기 위해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더 골치 아픈 문제와 마주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도피를 통해 해결하려는 방법은 진정한 문제해결책이 아니다. - P191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개나리를 이해하고 싶었다. 고민과 갈등을 거듭하던 중,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를 떠올렸다. 다시 읽어 보았다. 글을 읽는 내내 세상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린 주인공의 내면과 행동에 공감하였다. 이런 제제의 모습은 삶의 맥락을 함께 구축하고 있는 주변인들에게 쉽게 수용되지 않아 독자들로 하여금 안타까운 마음을 자아내기도 하였다. 결국, 제제는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어른을 만나면서 마음을 열고 좋은 친구가 되려고 노력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어른들 모두 한때는 제제였고, 한참 성장하고 있는 우리 주변의 어린이들도 모두 제제들이다. 지금의 개나리를 떠올려 보았다. 개나리도 한 명의 제제다. 개나리도 어쩌면 자신의 내면과 행동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친구를 만나지 못해 마음을 열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마음을 열도록 내가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다시 현실 속에 들어가면 내 마음의 파도는 요동치겠지만, 그래도 개나리를 이해하고 싶었다. - P209

어느 날, 연구 아이디어를 찾다가 한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다. ‘교실에 명당자리가 있을까?‘ 그리고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수첩에 메모했다. 메모한 것을 계속 되뇌며 생각의 꼬리를 길게 이어갔다. - P218

만남에서는 관계가 중요하다. 특히, 교육적 책무성을 가진 교사로서 나는 아이들과의 관계가 중요함을 이제야 알아간다. 아이들이 가진 씨앗이 다름을 인정하기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는 아이들의 각자 다름을 수용할 노력을 의도적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다. - P250

무작정 앞만 보고 달릴 것이 아니라 속도를 늦춰 뒤도 한 번씩 돌아볼 일이다.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정했다! 나는 모든 것을 말하겠어, 모든 것을. 하지만 네놈도 나와 함께 출두할 거다! 네놈이 법정에서 나에 대해 무슨 나쁜 말을 하든, 네놈이 어떤 증언을 하든 - 받아들이겠어, 네놈 따윈 무섭지 않으니까. 오히려 내가 나서서 모든 것을 확증해줄 테다! - P1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를 잊는 경험‘, ‘자기 관리‘, ‘자신만을 위한 시간‘, ‘나만의 시간‘, 뭐라고 부르는 이 여성은 이런 시간이 반드시 필요했다. 클라라 슈만(결혼 전의 성은 비크다)은 경외심을 일으키는 재능의 소유자였다. 19세기최고의 피아니스트였던 그는 암보로 연주한 최초의 유명 콘서트 아티스트로 음악사에 이름을 남겼고(이후 악보 없이 연주하는 관행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리스트, 쇼팽, 브람스 등 당대 음악계의 주요 인사들은 클라라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교사들에게 학교는 일상이다. 항상 학교에 존재한다. 그들은 외부 연구자들이 간절한 마음으로 들어오기를 원하는 학교와 교실에서 일상을 보낸다. 참여 관찰의 맥락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어 있는 셈이다. 여기서 연구자적 관점을 조금만 빌려온다면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다양한 현상들과 의미를 발견할 수있다. 약간의 민감성을 가지고 학교와 교실에 참여하거나 항상 익숙했던 것을 낯설게 보는 시각의 변화를 가하게 된다면 평소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현상들과 마주할 수 있다. - P19

수집된 모든 자료는 텍스트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26

교사의 반성적 성찰이 수업을 직접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을 강조하였다. 그 중, 글쓰기를 통한 성찰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었다. - P36

나이테는 ‘나눔‘, ‘이룸‘, ‘테두리 없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규모 학교의 모든 구성원들이 서로 간의 벽을 허물고(테두리 없는) 함께 나누고(나눔) 이루어간다(이름)는 뜻을 담고 있다. - P43

그러나 모형을 적용한 수업 이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다. 학생들과의 관계 형성이다. 래포 형성을 통해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이해해 줄 수있는 교사의 열린 마음이다. 아이의 내면까지 들여다보려는 노력까지 병행되면 더 좋다. 교사와 학생들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은 모든 교육 활동의 시작이라 할수 있다. - P66

아이들의 ‘능력‘보다는 ‘노력‘에 대한 칭찬을 할 것을 강조한다. 아이들이 어떠한 것을 얼마만큼 구체적으로 노력했는지에 대한 칭찬은 좀 더 높은 수준의 과제에 도전하게 만들고, 좀 더 많은 시간 동안 과제 수행에 몰입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어제는 책을 30분 읽었는데, 오늘은 50분을읽어서 20분이나 더 읽었구나. 책 읽는 데 열심히 노력하는구나!"와 같이 실제로 노력한 구체적인 상황을 언급해야 한다. - P88

빌게이츠도 자녀 교육 시, 컴퓨터의 과다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한다. 뉴스 보도에 따르면, 14세가 되기 전까지는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했다고 한다. 그리고 14세 이후에는 저녁 시간부터 잠들기전까지는 사용하지 않는 원칙을 적용했다고 한다. 그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고 관리한 이유는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똥 향수 과학이 잘잘잘 1
방정화 지음 / 한솔수북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와 정말 아이들책에서 무궁무진한 것들을 배운다.
고래똥 향수 원료인 용연향에 대한 이야기.
고애 뱃속에 들어가 아기 대왕오징어를 만나 용연향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이야기로 설명되는데, 성경 속 요나 이야기가 살짝 생각나기도 했다.
고래똥향수라니... 아직 향수 자체가 뭔지도 모르는 우리 꼬마에겐 와 닿지 않는 내용일 수도 있겠으나, 차차 세상에 궁금한게 많아지면 재미있게 볼 수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