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금쪽같은 내 강아지, 어떻게 키울까? - 13년차 반려견 훈련사 왈샘이 알려주는 반려견 교육법
박두열 지음 / 푸른향기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쪽같은 내 강아지, 어떻게 키울까?"는 반려견이 처음인 입문자에게 좋은 책이지만 반려견과 어느정도 함께 한 후에도 자가 점검을 위해 틈틈히 읽으면 좋을 책이다.




특히, 책으로만 끝나지 않고 중간중간 QR 코드를 삽입하여 무는 버릇 교육, 쫓아다니는 강아지 교육, 손바닥 교육, 하우스(켄넹)교육 등이 영상으로 제공되니 해당 문제가 있는 반려견이라면 영상을 보며 자세한 교육이 가능하다.




개를 꽤 오래 반려했다 치더라도 내가 알고 있는 정보는 한국의 환경과는 꽤 다른 부분이 있어서 한국식 교육과 정서 그리고 법률을 이해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특히, 내 경우엔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은 곳(사막기후)에 살다 와 보니 여름과 겨울, 장마 등 계절에 따른 반려견 관리 정보가 쓸만했다.





보리와 맞이하는 두번째 여름이 오면 갈증과 더위 해소에 도움이되는 과일들로 얼음을 만들어 주고, 특히 발이 습기에 감염되지 않도록... 그리고 사막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생충 문제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는걸 알게 되었다.
(첫 여름은 나도 이 부분에 상당히 좋지 못한 경험치와 병원비를 쏟았다.)

 

내 반려견을 관심깊게 들여다 보면 말은 못해도 몸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니 그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개의 스트레스나 혹은 우울감을 해소해 주는것이 좋은 반려인으로 거듭나는 길이다. 아울러, 개를 반려하지 않더라도 개의 습성을 미리 알아두면 개를 무서워 하거나 싫어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니 교양서적으로 읽혀도 손색이 없다.




한국에서 반려 동물을 키운다는 것은 솔직한 심정으로 힘이든다.

최근 방영한 이효리의 [캐나다 체크인] 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대부분 집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산책 거리에 개를 풀 수 있는 큰 공원이 나온다. 덕분에 하루에 한번 이상은 그 개들은 공원이나 거리를 걸으며 산책 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하늘을 뚫을 듯 솟아있는 복합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반려견을 키운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풀 수 있는 공원이나 놀이시설은 차를 타고 또는 비용을 들여서 어디를 가야 한다. 당연히 개를 반려하는 사람들이 게을러지거나 돈이 아까워 외출을 꺼려하게 만드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로 나가면 또 얼마나 위험하고 복잡한지...

 

반려동물 인구 1,500만 관련 사업 5조원 시대에 들어선 한국도 이젠 소규모는 아니더라도 대규모 주거시설엔 자체적으로 도그파크가 설계되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미국의 경우는 HOA 주택자 소유 협회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에 한해서 반려동물 소유비용을 매달 부과한다. 이는 마을 내에 개가 산책하는 공원과 반려견을 위한 쓰레기통과 봉투를 단지 곳곳에 설치 해 두고 이를 유지 보수 하는 비용으로 사용된다.)

개인적으로 바라는 바는 반려동물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알려주는 공공채널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보호소, 학교, 관공서, 동물관련 시설 등) 이제는 더이상 개인의 문제나 반려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반려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사회가 나서야 할 단계가 온 것이 아닌가 한다!


사람들이 많은 도시에서는 2미터 줄을 제한하는 건 좋다고 생각합니다. 2미터 정도면 앞뒤 총 4미터 정도를 다닐 수 있는 길이라 충분합니다.

하지만 사람이 없는 공원 같은 공간이나 안전한 공간에서는 리드줄 제한을 풀어줬으면 합니다. 2미터면 강아지들이 충분히 돌아다니며 냄새를 맡지 못해요. 공놀이를 하며 뛰어다닐 수도 없어요. 그렇다면 강아지는 도대체 어디서 놀아야 하는 걸까요? - P107

강아지들한테 말을 걸어주는 게 교감을 하는 첫 번째 단계라고 생각해요. 말을 걸어줄 때도 강아지가 쉬고 있거나 놀고 있을 때, 흥분할 때 하면 잘 못알아 들으니 평상시 차분할 때 해주시면 좋습니다. - P134

영악한 강아지들은 보호자의 관심을 받기 위해 보호자가 싫어하는 행동을 일부러 하기도 하죠. 평소에 보호자가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강아지들은 ‘왜 관심을 안 가져주지? 이런 행동을 해볼까?‘ 하며 엉뚱한 행동들을 하게 됩니다. 보호자의 말을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 강아지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부터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내가 관심을 주지 않아서 그런 행동을 하는지, 평소에 스트레스를 풀 데가 없어서 그런 행동을 하는 건 아닌지, 곰곰 생각해보세요.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쥐와 친구가 된 고양이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노에미 비야무사 그림, 엄지영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늙은 고양이는 눈이 멀어 예전처럼 지붕을 넘나들며 나들이를 하지 못한다.

생쥐 친구가 생기기 전까지...

생쥐 친구는 두려움에 넓은 세상을 본적이 없다.

고양이 친구가 생기기 전까지...





서로 마음을 나눈 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더 넓은 세상을 보게 만들고 더 큰 꿈을 꾸게 만드는 것!

사회적 동물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쥐와 고양이를 통해 생각하게 만드는 책

'생쥐와 친구가 된 고양이'


긴 시간이든, 짧은 시간이든, 그건 그리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삶이라는 건 길이가 아니라, 고양이와 생쥐처럼 서로 마음을 열고 얼마나 따뜻한 마음으로 사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믹스는 작은 친구의 눈으로 세상을 보았고, 멕스는 크고 건장한 친구의 몸에서 솟구치는 힘과 활력을 통해 더 강해 질 수 있었다.
둘은 정말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진정한 친구는 자신이 가진 장점을 서로 나눌 줄 아는 법이니까.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