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공구 - 공구와 함께 만든 자유롭고 단단한 일상
모호연 지음 / 라이프앤페이지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려공구'라는 책 제목을 봤을때 마음에 확 와닿았던 건 아마도 경험치에 비례 한 것이 아니었을까?

남편을 만나기 전의 내가 이 책을 보았더라면, 공구의 신세계에 빠져 와~ 공구가 이런거구나! 나도 한번 도전해 볼까? 라며 감탄하고 있었겠지만 '반려'라는 말이 실감나는 미국의 가라지(garage) 생활을 8년 하고 나니 '반려공구'에 소개 된 소소한 공구들이 더 귀엽고 다정하게 느껴졌다.




'철물점'에 가서 적당한 공구와 도구를 찾아내는 것!

어쩌면 이 과정이 부담스러운건 비단 작가만의 애로사항은 아닐 것이다!

왠지 공구를 제대로 모르면 잔소리를 들어야 될 것 같고, 꼰대 아저씨가 아는 척을하며, 건네주는 공구에 대한 불신의 마음이 들것 같은 '철물점'의 존재의 불편함 그래서 '이걸, 고치느니 차라리 몇푼 더 주고 새 걸 사겠다'라는 마음이 컸을 수도 있겠다.




미국에서 만난 '철물점'은 그냥 철물점이 아니었다.

혼자 집을 한채 지어 낼 수 있는 모든 도구가 모여있는 백화점이었다.

경장비(대여가능), 중장비(대여가능), 목재, 철재, 전기, 조명, 바닥재, 문(창문, 대문, 반려동물 문), 벽재 등등 수를 헤아릴 수 없는 자재들이 한 곳에 모여, '나를 데려가 너의 집을 고치고 지으렴?'이라며 손을 흔들어 댔다.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자주 만나는 아메리칸 스탠다드 (American Standard)로 규격화 되어 있어, 번호와 크기에 따라 찾아가면 내가 원하는 도구와 장비를 만나는 것도 어렵지 않다.

물론, 공알못 (공구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미국에도 존재하기에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이 어마어마한 자재 백화점에서 코너 하나하나를 뒤져 보는 일도 꽤 즐거운 일이다. (철물점 처럼 괜한 주눅이 들지 않는다.)

어떤 방식으로 공구를 만나게 되었든 공구와 감성을 나눈 작가의 시선이 좋았다.
차갑고 딱딱하게 느껴지는 공구들의 세계에서 말랑말랑 실리콘이나 글루건의 진득함 그리고 온기마저 느껴지게 하는 작가의 필력에 박수를 보낸다.

사물을 관찰하고 고찰하며 결국은 어떤 성찰마저 느껴지는 '반려공구'

나의 성취감은 대부분 완성보다 과정에서 온다.

완벽함을 이상으로 알던 시절에는 오히려 완벽하지 않을 것을 알기에 시도조차 못한 일이 많았다. 그러나 어설프게나마 시도한 일은 그저 하는 것만으로 나를 발전시켰다.

그 후로 나는 할 마음이 드는 것이라면 아무거나 해보기로 했다. 빨간 손잡이 드라이버는 그래서 나와 닮았다.
문제가 발생하면 아무 데에나 호출되어 나와 함께 고민을 나눈다.

아주 믿음직스럽지는 못해도 언제든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 언제나 시작을 함께하는 공구이니만큼 사랑스럽지 않을 수가 없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