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을 생각한다 -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박중서 옮김 / 반니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과 공학에 대한 구분에서, 가장 먼저 떠 오르는 것은, 대학에서의 단과대 구분이다. 즉 (단순화의 오류를 감안하더라도) '과학'은 '자연과학대'의 영역이고, '공학'은 '공과대'의 영역이다. 세부적으로는 각 단과대의 영역에 포함되는 세부 학과의 학문 영역의 차이에 기인할 것이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특히 언론을 통해서 대중에게 알려질 때는, 과학과 공학 간의 혼란이 발생하고, 나아가 공학은 배제되고, 과학만이 일반에게 보여지는 것이 빈번한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사람들은 생각을 다루는 과학자들이 (설령 그 생각이 사물에 관한 것이어도) 직접적으로 사물을 다루는 공학자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니다. 여기에 불만을 품고 토로한 것이 이 책이랄 수 있다.

그렇다고 그런 불만의 토로만이, 이 책이 쓰여진 이유는 아니다. 원서 제목인 'The Essential Engineer'에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엔지니어(꽁학자)는 단지 과학의 공조자로서 그늘에 가려진 역할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한글판의 부제와 제목은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을 통해서 공학을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공학을 생각한다')

그렇게 여러 장(chapter)를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학'의 역할과 그 필수성을 강력히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과학이든, 공학이든, 아니면 인문학, 사회과학이든 "지금은 지구 전역의 과학, 공학, 경제, 정체, 공공 정책 등 공동체들이 서로 경쟁하는 여러 문화로 나뉠 시기가 아니"라 여러 공동체들이 단합 또는 융합을 통하여 "서로의 원칙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체에 기여할 수 있는 각자의 본질적 영할을 이해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