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소실점
김희재 지음 / CABINET(캐비넷)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미즐에서 이벤트에 응모하고 수령한 책.

어떤 여자의 이야기인지, 그 일을 벌인 범인의 이야기일지, 사건을 밝히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일지-

기대하면서 보기 시작했다.

22페이지

기자들이 소설을 써놓고 그것을 사실로 만들기 위해 편집을 하고 우기고 소송을 하는 시대가 된 느낌이었다.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사실은 상관없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곡해해서 해석하는 부분이 있게되는 것 같다. ​이슈를 만들어 주목받는 것만이 더 중요해진 것 같은 세태에 점점 더 자극적인 이야기가 쏟아져나오는 것도 불편하기만 해진다.

65페이지

사진 속에서 본 서인하와 실물 서인하의 다른점.

'기름기.'

잘 안다고 생각했던 사람의 이면을 보는 것은 익숙하고 가까운 사람일수록 그 낯선 모습이 그러났을 때 보다 더 ​당황하게 되는 것 같다. 누구에게나 기대하는 모습이 있고 그 모습에서 조금이라서 벗어난다면 자신이 한 말이 거절당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배신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 모습이 진짜이든, 그냥 보기 싫었던 모습이든.

85페이지

'어느 쪽이 진짜인 걸까?'

어떤 것이든 애매하고 본능이 빨간불을 켜고 경보음을 울려대지만 애써 무시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연출된 것인지 원래 그랬던 것인지에 대해 믿고 싶은 구석이 엿보이면 그것을 그대로 믿어버리는 면도 있는 것 같다.

뭐가 진짜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 순간은 내가 믿고 있는 것을 그대로 믿을 수 있는 힘만 있으면 되는게 아닐까- 한다.​

재판을 앞둔 검사 강주희를 찾아온 동료 이검사와 남검사와의 만남에서 잔소리인지, 걱정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격의없이, 일상적으로만 보이는 대화는 필요 이상으로 시답잖음이 덮여 있다. 흘려들어도 이상할 것이 없지만 그 시답잖아 보이고 일상적인 순간에도 이후에 지나가는 번뜩이는 깨달음을 위한 초석이 되어- 허투루 흘려버리는 장치가 없다는 부분에서 영화 각본을 쓰는 익숙한 치밀함이 나온 것 같다고 느꼈다. ​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움직인 완벽한 말이었던 것인가-하는 씁쓸함도 있지만

자신이 믿는 것을 위해 온전히 그 모든 것은 해내고 짊어지고 가게되는 것도 여운이 느껴진다.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어떤 배우들이 서인하와 최선우를, 강주희를 연기하게 될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을 경영하라 - 9가지 성격별 운명전환 성공법
수희향 지음 / 더난출판사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길이 막혔다고 생각하는 순간 길이 열린다-

처음부터 갈 길은 정해져있었다는 것인지, ​무언가에 의해 결국은 그 선택을 하게 된다는 생각도 든다.

​마지막에 순간에 어쩔 수 없이 선택하게 되는 것은 ​그게 답인 것을 알았지만 애써 피하려 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직관형, 사고형, 감성형로 나뉜 에니어그램의 3가지 ​에너지장 항목 분류만 봤을 때는 사고형이 아닐까- 싶었지만 성향에 대한 설명으로 그것은 아닌 걸로 나름의 생각을 정리했다.

가장 내 성격과 평소 행동에 가까운 것은 1번. 고지식한 완벽주의자.

무언가를 새롭게 볼 때마다 하고 싶은 것도 많아지고,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것도 많아서 하루 24시간, 일주일, 1년 365년이 모자랄 지경이지만 자주 나를 찾아오는 게으름을 보면 인생의 전반을 뭉개버릴 수도 있을 귀차니즘이 찾아오면 이래서 안되,,, 라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욕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시작해보고는 싶지만 뭐든 시작하면 제대로 준비해서 완벽하게 하려는 면에서 확실히 '고지식한 완벽주의자'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태음인, 태양인, 소양인, 소음인 같은 사상체질이 처음에는 4가지로만 구분되어 지던 것에서 요즘은 더욱 세분화되어 체질을 분류하는 항목이 더 많아진 것과 같이, 다변화되고 다양한 성향이 섞여 있어 딱 하나만 꼬집어서 그것만이 내 성향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겠지만 어느 정도 더 잘 맞는 부분을 대표성향으로 생각하고 참고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여느 자기계발 서적에서 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체크해서 체크된 항목별 점수에 따라 어떤 성향에 가까운지 테스트해볼 수 있는 항목은 없지만 성격 표현이 극대화된 영화 속 캐릭터로 각 성향이 설명되어 이해하기가 오히려 쉽고, 더 와닿는 설명이라 개인적으로 좋았다.

각 성향별 캐릭터가 주인공인 영화를 다 보고 싶어질 정도로.​

로또에 당첨되는 것도 로또를 사야 당첨될 수 있듯이 천복도 깊이 이해하고 극복해내면 그 힘으로 내가 주체적으로 방향을 잡을 줄 알아야 나를 찾아왔을 때 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