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선단공포증에 걸린 야쿠자 중간보스, 어느날부터인가 공중그네를 자꾸만 실패하는 베테랑 곡예사, 장인이자 병원원장의 가발을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는 의사, 제구력이 흐트러지기 시작하더니 기초조차 할수없게된 올스타 3루수 야구선수, 작품을 쓸때마다 썼었던 소재같은 기분의 강박증에 구토증까지 걸린 연애소설의 카리스마 여류작가.
이들을 말끔히 치료해주는건 꼬박꼬박 비타민 주사를 놓아주는 거구의 몸과 어울리지않게 어린아이같은 이라부 정신과의사
사람들은 막연히 정신과에 대한 편견이있다 그건 나도 마찬가지이고 그래서 절친한 친구의 장래희망이 정신과 의사라고 했을때 웃음이 나올수밖에 없었다
현대인의 대부분이 정신병에 시달린다고해도 정신병은 웬지 남의 일만 같다고 생각했는데 (친구 덕분에 편견이 약간 사라지긴 했지만) 공중그네를 읽고나니 나도 정신병에 걸릴수 있다고 그렇게 생각이 바뀌었다
이 책의 주인공인 이라부의사는 의사가 맞는지 상당히 의심스럽다 또한 계곡이 들어날만큼 깊게 파인옷에 초미니스커트를 입는 간호사인 마유미도 마찬가지이고
상담을 받으러오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처음엔 이라부에게 거부반응을 느끼지만 자신도 모르게 발걸음이 이라부 정신과로 향한다
치료방법도 굉장히 독특하다 도움도 안될거같은 비타민 주사를 매일 놓아주며 흥분을 느끼질않나 상담을 해오면 자기얘기만 늘어놓질않나 전혀 치료가 되지않을것 같지만 두번,세번 그렇게 찾아오다보면 어느새 사람들은 치료가 되어있다
사실 정신병이라는건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단지 마음에 병이라고 생각한다
그 마음의 병을 살살 달래주는것이 정신과 의사이고
오늘도 이라부 정신과는 한가하다 자신도 마음의병이 의심된다면 언제든 이라부 정신과로
단 언제 날아올지 모르는 주사바늘은 조심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