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미는 토요일 새벽 - 제1회 아르떼문학상 수상작
정덕시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11월
평점 :
아르떼문학상 수상작_상실의 아픔에 관한 『거미는 토요일 새벽』 북 리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소중한 글입니다.」
『거미는 토요일 새벽』 소설 첫 장부터 온 시선을 집중하며 책을 읽어 내려갔습니다.신선한 소재 속에서 충격을 받은 사실도 잠시 이야기 전개는 두희라는 이름의 '타란툴라'는 주인공 수현의 집에서 17년을 함께 산 반려동물이며 세상을 떠나 무지개다리를 건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설은 그렇게 17년 동안 주인공 수현과 함께 했던 반려동물 '타란툴라'의 죽음 후 두희가 온전히 몸을 숨길 수 있는 은신처 그리고 다시는 주인공 수현이 찾아올 수 없는 그 은신처로부터 이별하면서 겪게 되는 상실의 아픔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이지만 그 어떤 사람들에게도 쉽게 다가서는 반려동물이 아닌 거미이며 반려동물 소재거리에서 '타란툴라'를 키운다는 말을 혹여 꺼내게 된다면 으레 모든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자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질문의 가십거리가 될 것이라 예상되는 반려동물 거미를 키우는 주인공 수현.
그리고 17년 동안 수현의 삶의 전부라고 자칭해도 될 만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수현의 모든 일상과 마음의 중심에 서 있었던 반려동물 두희의 죽음으로 표현되는 수현의 담담하지만 아련하고 애잔해지는 슬픔과 고통은 소설을 읽는 내내 책장을 넘기는 손끝으로 상실의 경험을 느낄수 있게 합니다.
반려동물과의 동거 속에서 수현의 모습은 참 많은 것을 깨닫게 합니다.
자신의 안위보다 두희의 안전과 컨디션을 살피며 반려동물을 자신에게 맞추려는 것이 아닌 자신의 삶 속에 한 부분으로 들어와 준 반려동물에게 감사하며 자신의 모든 것을 더 맞추며 최대한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습을 보며 생각의 관점의 시작을 반려동물의 감정과 그 입장에게 바라보아야 함을 알게 합니다.
대상이 반려동물이 아닌 연인과 가족 혹은 친구관계에서도 폭 넓은 의미를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과 정제되고 아름답게 쓰인 소설 속에서 그 어떤 의미의 상실 그리고 사랑에 관하여 많은 의미를 배우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