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hat Do You Want? 왓 두 유 원트? - 선택, 결심, 변화를 이끄는 결정적 질문
김호 지음 / 푸른숲 / 2024년 4월
평점 :
질문을 통한 결정의 힘 _ 『 What Do You Want?』는 결정적 질문들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며 더 나은 선택과 결심과 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코칭이란 무엇일까요?코칭은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사람을 돕기 위한 대화입니다.
여기에서 변화란 누군가를 억지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변화란 자기가 원할 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조직개발 분야 연구자이자 컨설턴트 어빙보윅(Irving Borwick)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변화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당하는 것에 저항할 뿐이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점은 바로 Question_ 질문입니다.
왜 질문하는 삶을 살아야 할까요?
좋은 선택을 하고 중요한 결정을 잘 내리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결국 순간순간의 최선의 결정이 모여 최고의 인생이 된다. 그리고 제대로 된 답을 얻으려면 제대로 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라고 말하며 질문에 중요성을 각 장마다 코칭 하는 상황 속에서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스로 변화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며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들이 나와 있습니다.
한 각 장이 끝나는 무렵 《Coaching Session》 에서는 독자로 하여금 저자의 코칭을 받고 스스로 생각하고 변화될 수 있는 질문을 제시하며 해결점을 찾을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깊은 생각과 행동이 담긴 《Special Tip》 또한 유용하게 읽으며 결심과 변화가 필요한 이들에게 충분한 영양소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1. 내가 정말 잘 살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이렇게 물어보세요
첫째 장은 Q1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What Do You Want?”입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성인이 된 이후에도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 채 하루하루 바쁘게 보냅니다. 문제는 남들이 나에게 바라는 것만 중요하게 여기다가, 정작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를 때 발생합니다.
이런 일상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저자는 자기만의 인생 여정을 위한 올바른 질문지를 던져줍니다.
Q2 현재 어디에 시간과 돈을 가장 많이 쓰고 있나요?라는 두 번째 질문으로 하루하루 충실히 보내는 사람들의 시간 관리에 대한 방법과 시간 투자자의 법칙에 대한 3가지 테마를 통하여 돈과 마찬가지로 시간이라는 자본도 각자가 원하는 곳에 투자할 수 있기에 우리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곳에 나의 시간과 돈을 쓸 수 있도록 유도하고 올바른 질문과 그에 대한 자신만의 해답을 찾도록 하고 있습니다.
♣ 2 불확실한 미래가 두렵다면 이렇게 물어보세요.
두번 째 장에서는 Q3 10년 뒤 나의 ‘완벽한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요?라는 질문에 해당되는 사례를 들어 자신의 '서사시' 기록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의도를 갖고 살아라'
♣ 3 위기를 겪고 있다면 이렇게 물어보세요.
세 번째 장에서의 '고 이어령 선생님'의 울림이 있는 이야기가 적혀 있습니다. ‘남들이 뛴다고 뛰는 것이 아니라 내가 뛰고 싶은 방향으로 각자가 뛰면 360명이 다 1등 할 수 있어. 베스트 원이 될 생각하지 마라.
온리 원, 하나밖에 없는 사람이 되어라.’
이번 장에서는 두려움과 위기를 겪고 있는 이들에게 잔잔한 위로와 격려를 건네주며 위기는 기회임을 자각하고 그 순간을 해석하는 관점을 바꾸어 성장의 계기가 될 수도 있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실패를 계획하여야 하는 이유는 좀 더 용감하게 시도해 나갈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시도의 결과와 상관없이 이로부터 배우려는 자세만 있다면 '계획한 실패'는 우리에게 최선의 성공전략이 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해 제시해주기도합니다.
♣ 4 누군가 나를 힘들게 한다면 이렇게 질문해 보세요.
고민을 통해 의사결정해야 하는 대상에는 크게 보면 3가지 관계가 있습니다. 일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자기 욕망과의 관계.
이러한 관계들 속에서 우리는 종종 마음이 힘든 때를 마주하게 되는데요. 많은 경우 그 이유는 누군가 나를 힘들게 만든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그에 따른 저자가 내린 솔루션은 바로, 해결책을 바로 찾기 보다 마음이 힘든 나를 보살펴 주면 어떨까요?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몸의 감각에 집중하면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으며 그런 나를 보살펴 주는 방법들을 제시하며 평정심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들인 것 같았습니다.
또한 누구나 미약하게라도 가지고 있는 '로열티 컨트랙트'를 심리적 성인으로 나아가기 위해 'Coaching Note의 제목은 타인의 기대에만 부응하지 마세요'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하여 본인이 감당해야 함과 어렵고 불공정한 상황 속에서도 관계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힘이 내 안에 있다고 믿을지 말지는 내가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