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습니다
진 화이트하우스 피터슨 글, 데보라 코간 레이 그림, 이상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웅진주니어) 내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습니다

 

이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왜? 동생이 소리를 듣지 못할까? 하는 질문을 먼저 던지게 되는 것 같아요.

글쎄? 왜 그런지는 책을 먼저  읽어 보는 게 좋겠다고 했답니다.

책 속의 그림은 칼라는 하나도 없지만 연필로 그려진 동생의 잔잔한 미소에서 오히려 포근함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소리를 듣지 못하는 동생이 특별하다고 이야기 하는 언니~

우리집 이 녀석은 막내라서 동생에 대한 감정이 어떤지 잘 모르는 것 같아요. 언니의 무한한 사랑만 받아서 인지~

 책 속의 언니도 무척이나 동생을 좋아하고 잘 챙기는 것 같다고 하네요.

 

 

피아노를 칠 줄은 알지만 노래를 못 부르는 동생

하지만 몸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놀이는 함께 할 수 있답니다.

정글짐에서 언니와 재미나게 노는 동생을 보면서 듣지 못한다고 우리와 다른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답니다.

 


 

듣지는 못해도 소리를 내지 않고 손가락과 입술을 움직여서 말을 해요.

풀밭에 가면 언니는 아주 작은 소리도 놓치지 않고,

동생은 아주 작은 움직임도 놓치지 않고 살핀답니다.

 

동생이 말하는 방법을 엄마에게 배울 때 들리지 않지만 입술 읽는 법과 말하는 법을 배워서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한번은 언니가 선글라스를 쓰고 말을 하니  동생은 선글라스를 벗겼답니다.

아마도 입술, 손가락만이 아닌 눈으로도 대화를 하는 가 봐요.

 

듣지 못한다면 자기의 기분을 말로 표현 하지 못할까요?

동생은 얼굴 표정과 어깻짓으로 분명하게 기분을 말할 수 있답니다.

우리가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준다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동생이 소리를 듣지 못해서 좋을 때도 있답니다.

비바람이 몰아치거나 천둥이 칠 때 새근새근 잠을 단답니다.

그때는 언니가 혼자 무서워 한답니다.

 

 

내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답니다.

밝은 모습으로 웃고 잇는 우리와 같은 단지 소리만 듣지 못하는 아이를 오늘 만났답니다.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은 귀가 안들리는 청각 장애우였던 거였네요.

단지 소리만 안 들리지 우리와 똑같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것을 잘 기억해야 겠어요.

귀가 안 들리니 청각 장애우를 우리가 만난다면 조금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는지 마음을 열고 느껴야 할 것 같아요.

눈으로도 몸짓으로도 입모양으로 대화를 충분히 할 수 있으니깐요~

그럼, 오늘 만난 장애인는 청각 장애인지만~ 어떤 장애인들이 있는지 생각하고 적어 보기로 했답니다.

그리고 어디가 우리보다 조금 불편한지 이야기 해 보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도 이야기 해 보았답니다.

 

어디가 불편 한지 어떤 것들에 도움을 받는지 그리고 내가 만나게 된다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았답니다.

그리고 내게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다면? 했더니 수화를 배워서 가르쳐 주고 싶다고 하더라구요.

 

 

장애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도구들을 찾아서 줄도 그어 보았답니다.

 

 

 

이렇게 책을 읽고 독후활동을 해 보더니 헬렌 켈러가 생각난다고 하더라구요.

헬렌 켈러는 듣지도 보이지도 않았지만 나중에 학교도 다니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희망을 주었다는 것을요.

 

책을 통해서 장애를 가졌다고 우리와 다르지 않다는 것과

그들만의 표현 방법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답니다.

우리가 작은 관심만 가지고 도움을 준다면 함께 어울어져서 살아 갈 수 있는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소리를 못 들으면 귀가 아플까?"

그러면 난 이렇게 대답해요.

"귀는 안 아파. 하지만 사람들이 자기 말을 못 알아들으면 마음이 아픈 것 같아."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